전남도에 따르면 여수 율촌면 신풍리 산18-1번지(애양병원 주변)와 평여동 산67번지(제일모직 주변)에서 소나무 4그루가 재선충병에 감염된 것으로 지난 11일 최종 확인됐다.
발생 원인은 자연적 확산보다는 인위적 확산일 가능성이 높아 국립산림과학원과 전남산림자원연구소 합동으로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다.
인근에서 기존 발생지역은 경남 남해군 서면으로 15km 떨어진 곳이다.
전남도는 이에 따라 지난 12일 오후 2시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등과 함께 여수에서 관계기관 긴급대책회의를 갖고 반경 5km지역에 대한 항공 지상 정밀 예찰을 실시해 감염목이 발견되면 10월 15일까지 전량 소각 또는 파쇄 등 강력한 방제조치로 더 이상의 확산을 막기로 했다.
초기 확산방지를 위한 긴급방제대책으로 발생지주변 5ha를 입산통제구역으로 지정, 통제하고 감염목 4그루는 12일 베어서 현장에서 소각조치했다.
반경 5km이내 지역은 11월 30일까지 솎아베기 등 임업적 방제를 실시하고 감염목 발생 주변은 12월 30일까지 재선충병 예방효과가 뛰어난 예방 나무주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또 발생지 주변 산림은 입산통제와 감염목이 발생된 반경 3km 이내의 읍면동에 해당하는 율촌, 소라면 전 지역과 삼일, 주삼동 지역 1만730ha가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특별법’ 규정에 따라 반출 금지구역으로 지정돼 소나무류(소나무 해송)의 이동이 전면 제한된다.
다만 조경수목에 대해서는 산림자원연구소장의 미감염 확인증을 발급받아 제한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재선충(材線蟲)은 소나무, 잣나무 등에 기생해 나무를 갉아먹는 선충으로, 솔수염하늘소과 공생 관계에 있어 이를 통해 나무에 옮는다. 일본, 타이완 등에서 출현했으며, 소나무의 에이즈라고 불릴 만큼 심각한 해충이다.
전남에서는 지난 2001년 목포, 2002년 신안, 2003년 영암 등에서 발생, 초기 적극적인 예찰 방제 활동을 펼쳐 영암은 2008년, 목포는 올 1월 청정지역으로 선포됐고 신안이 내년 1월 선포를 앞두고 있다.
변중섭 기자 jusby@hanmail.net
2025.11.14 18:00
공식블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