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관참시(剖棺斬屍)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
2013년 07월 05일(금) 11:35
조선시대 4대 사화(士禍)라면 무오(戊午, 1498), 갑자(甲子, 1504), 기묘(己卯, 1519), 을사(乙巳, 1545년)년에 각각 벌어진 사림(士林)의 화(禍)를 말한다. 유교를 숭상했던 조선시대에는 선비와 학자들이 정치의 중심세력이었다. 하지만 이들은 지역이나 사상 등을 연고로 파당을 이루며 사사건건 대립했다. 이 때문에 곧은 절개를 지닌 선비들까지 간신들의 모략과 중상으로 능지처참(陵遲處斬)의 참형에 처해지거나 극형을 받고 유배되기도 했다. 이미 죽어 땅에 묻힌 이들은 부관참시(剖棺斬屍)의 형벌까지 받았다. 육시(戮屍) 또는 부관참시는 죽은 자의 관을 꺼내 그 시체의 목을 자른다거나 길거리에 매달아놓는 등 사자(死者)를 두 번 참극 하는 형벌의 한 종류다. 오늘날로 말하자면 명예형(名譽刑)이다. 부관참시는 폭군인 연산군시대에 주로 행해졌다. 바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다. 1498년 무오년 실록청 당상관이었던 이극돈은 실록을 점검하다 김종직이 쓴 조의제문(弔義帝文)이 세조의 왕위찬탈을 비판하는 것으로 억지 해석해 연산군에게 김일손 등이 대역부도(大逆不道)를 도모했다고 고자질 상소를 올린다. 이에 대노한 연산군은 김종직의 묘를 파 목을 자르는 등 부관참시 했고, 그 제자들은 능지처참했다. 무오사화는 사초(史草)가 그 발단이었다고 해서 ‘사화(史禍)’로도 부른다. 국가정보원이 2007년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의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공개한 것을 계기로 큰 혼란에 빠진 정국을 빗대 우원식 민주당 최고위원은 계사사화(癸巳史禍)로 표현했다. 노 대통령의 대화 내용을 제멋대로 해석해 정권 재창출을 위해 악용한 집권여당이나, 전직 대통령을 입에 담기 어려운 말로 부관참시 한 국가정보원의 작태가 꼭 빼닮아서다. 하지만 무오사화의 단초를 제공한 이극돈의 졸기(卒記)가 관작 추탈, 유림 배척, 그리고 간신(奸臣)이었던 것처럼 계사사화의 끝은 돌이킬 수 없는 국격(國格) 추락임을 집권여당은 아는지 모르겠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
이 기사는 영암군민신문 홈페이지(yanews.net)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yanews.net/article.php?aid=1164693955
프린트 시간 : 2025년 01월 11일 01:3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