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선조들은 역사를 어떻게 기록하고 관리했나?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
2013년 08월 23일(금) 11:19
이원형
본지 객원논설위원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역사서인 삼국사기에 의하면 삼국시대에 역사서를 편찬 했다고 한다. 고구려 영양왕 때 이문진이 신집이란 역사서를 편찬하였는데, 유기란 역사서의 요약본이었다는 것으로 보아 고구려에는 그 이전에 이미 역사책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백제 근초고왕은 서기를, 신라 진흥왕은 거칠부가 국사를 편찬했으나 유감스럽게도 현재는 모두 전해지지 않고 있다. 고려시대에는 왕명으로 김부식이 삼국사기란 역사책을 편찬하였는데 이 삼국사기는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역사를 기록한 것인데 신라를 정통으로 삼고 신라 위주로 편중되게 쓰인 흠이 있다.
역사의 기록은 사기나 한서 등 고대에도 있었으나, 실록이란 형식의 역사서는 중국 당 나라 태종 때부터 편찬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실록은 역사의 대명사이자 한 국가의 역사로서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고, 실록편찬에는 최우선적으로 직필(直筆)이 강조되었다. 또한 역사는 정치의 거울로 인식되어 역사기록은 사실에 입각하여야 하고, 그렇게 기록된 역사서는 원본이 무엇보다 중시 되었다. 역사는 왜곡되거나 훼손되지 않는 기록이어야 하고, 믿을 수 있는 기록의 보존은 직필의 보존이자 원본성의 유지 그 자체였다. 이런 이유로 실록은 그 시대의 얼굴이자 거울로서 모든 사서의 기본인 등록(謄錄)이 되었다. 우리나라는 고려시대 부터 실록을 편찬하였으나 몽고 등 잦은 전란으로 모두 소실되고 말았다. 현존하는 고려사는 조선시대 세종 때 정인지등이 편찬을 시작하여 문종 때 완성 한 것이다.
고려사는 조선의 건국을 정당화하려는 의도로 고려 후기 기록을 왜곡시킨 흔적을 보여 주는 아쉬움이 있다.
조선왕조실록은 세계에서 그 유례를 찾기 어려운 단일 왕조의 최대의 역사 기록이다. 그리하여 조선왕조실록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어 우리 조상들의 찬란한 기록정신과 우리 민족의 수준 높은 문화수준을 세계에 유감없이 보여주는 자랑스럽고도 소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이다. 실록이 우리나라만의 전유물이 아니기에 중국에도 실록이 있으나, 오직 우리나라의 실록만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어 우리 조상들의 기록정신이 얼마나 치열했는지를 증명하고 있다 하겠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듯이 조선왕조실록은 조선 왕조 472년의 역사 즉 태조 때부터 25대 왕인 철종시대 까지를 편년체로 기록한 것이다. 본시 조선왕조는 517년간이나 고종과 순종의 실록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편찬하였기에 조선왕조실록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조선왕조실록은 1413년 태종 13년에 처음으로 태조실록이 편찬되었고 마지막 철종실록이 1865년 고종 2년에 편찬되었다.
우리는 실록의 편찬은 왕이 죽은 후에 편찬하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실록이 처음 편찬되던 중국의 당 시대나, 고려시대의 실록은 재위기간은 물론 죽은 후에도 편찬되는 등 규범화된 원칙이 없었다. 조선시대에는 왕이 죽은 후에 실록을 편찬하였는데, 이는 사실과 직필의 객관성을 유지하고 살아있는 권력에의 압력을 줄이려는 실효성 있는 장치였다. 물론 편찬 당시의 군왕의 존속에 대한 직필이 과연 소기의 목적달성이 가능할지에 대한 의구심은 군왕은 실록을 볼 수 없다는 원칙으로 객관성 확보에 대한 최소한의 장치를 마련하는 지혜를 발휘하였다.
<계속>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
이 기사는 영암군민신문 홈페이지(yanews.net)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yanews.net/article.php?aid=1188676925
프린트 시간 : 2025년 01월 11일 01:5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