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 |
2016년 05월 27일(금) 14:28 |
인류 최초로 쌀을 생산하기 시작한 지역에 대해서는 인도기원설, 중국기원설, 동남아기원설 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중에서 인도의 아삼지방과 중국의 운남성 부근을 쌀의 기원지로 보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우리나라에는 약 5천년 전 양자강 및 황하를 따라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전에는 보리, 좁쌀, 콩 같은 밭작물 뿐이었다고 한다. 쌀이 들어오면서 식생활의 양상도 달라져 북쪽 사람들은 좁쌀밥, 남쪽 사람들은 보리밥을 귀족들은 쌀밥을 먹게 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쌀이 화폐로서의 기능을 하게되어 관리들의 봉급을 쌀로 주었다.
우리나라 식량자급의 역사를 살펴보면 1960년대까지 보릿고개가 있었다. 쌀은 다 떨어지고 보리가 익을때를 기다리는 굶주림의 고갯길이었다. 당시에는 어려운 식량사정으로 혼분식 장려운동을 하였다. 교사들이 학생들의 도시락 잡곡을 검사하고 세무서원들이 수시로 마을에 들어와 밀조단속을 벌이기도 하였다.
이처럼 어려웠던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에서는 식량 자급자족 달성을 국가적 숙원사업으로 설정하고 수년에 걸친 투자 끝에 1972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허문회 교수를 중심으로한 연구개발팀이 통일벼 개발에 성공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통일벼는 키작은 다수확 인디카 품종과 일본종의 자포이카 품종을 교배한 품종으로 수확량이 30% 이상 많을 뿐만 아니라 키도 작아서 태풍에도 잘 쓰러지지 않고 병충해에도 강한 강점을 지니고 있었다.
통일벼의 성공은 다양한 신품종 개발로 이어져 쌀사정이 좋아지자 정부는 쌀막걸리 제조를 허가하고 학생들도 도시락 검사에서 해방되었다. 그후 서구식문화의 급속한 유입으로 쌀소비가 점점 줄어들게 되어 지금은 쌀이 남아도는 상황이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 남아도는 쌀 재고량은 약 136만톤으로 국민 1인당 쌀소비량기준(65.1Kg)으로 환산하면 2천만명이 1년간 소비할 수 있는 양이라고 한다.
이처럼 넘쳐나는 쌀 재고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골머리를 앓고 있다. 쌀 재고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중 하나로 대북 쌀 지원이 있다. 최근 북한은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식량부족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한다.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FAO)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식량 생산량은 전년 대비 9%정도 감소해 식량 부족량이 약 69만톤에 달할것이라고 한다. 이처럼 식량부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북한에 남아 도는 쌀을 지원하려고 해도 지난 2010년 3월 북한의 천안함 폭침 사건 이후 남북 교역을 전면 중단시킨 5·24 제재 조치가 걸림돌이다. 천안함 폭침 및 연평도 포격 사건에 대한 북측의 사과없이 남측이 일방적으로 대북 쌀 지원을 재개할 명분이 없고 북한 또한 자존심을 굽히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국제사회에 식량지원을 요청하면서도 정작 남측 정부는 따돌리고 있는 것이다. 정부에서는 대북 쌀 지원의 대안으로 해외 무상원조를 검토하고 있으나 이 또한 여의치 않다. 다른 쌀 수출국의 견제가 예상되고 국제 시세에 비해 우리 쌀 가격이 2∼3배 비싸 정부의 재정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쌀값과 맞먹는 운송료 부담도 풀어야 할 과제다.
이처럼 남아 도는 쌀을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은 없는 것일까? 해마다 쌀 소비량은 줄어들고 국내 쌀의 높은 가격으로 수출 시장에서는 통하지를 않고 국내 가공용 쌀 수요도 늘지 않아 사면초가에 빠져 있다. 그렇다고 안보와 직결되고 생명산업인 쌀농사를 접을 수도 없는 상황이다.
이 시점에서 우리가 생각해 볼 수 있는 방안은 역시나 대북 쌀 지원이라고 생각한다. 이념과 체제가 달라 북한과 서로 적대시 하면서 대치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같은 민족이고 언젠가는 더불어 함께 살아야 할 동포다. 같은 동포의 입장에서 어느 한편에서는 쌀이 남아돌아 처리를 하지 못해 폐기를 해야 하면서 다른 한편에서는 굶주려 죽어간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정부차원에서의 지원이 어렵다면 민간차원에서라도 북한동포 쌀 보내기 운동을 펼쳐 전국민적인 성금을 모아 남아도는 쌀을 북한동포에게 보내준다면 정부의 재정부담도 덜고 쌀 과잉공급도 해소되어 농민들의 쌀값도 보장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