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군민신문 창간 9주년 特輯提案 이춘성 기자 yanews@hanmail.net |
2016년 08월 26일(금) 10:08 |
대불 인입철도 활용 철도차량 생산거점 만들자"
총연장 12.4㎞ 인입철도 완비된 SOC 등은 최적 여건 판단
군, 지역정치권과 경제계 등 합심협력해 적극 유치 나서야
극심한 불황으로 조선업이 구조조정에 들어가면서 영암군을 비롯한 전남 서남권의 업종 다각화가 발등의 불로 인식되고 있는 가운데 그 해결방안의 하나로 총연장 12.4㎞에 달하는 대불산단 인입철도를 활용해 철도차량 생산거점을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무안 일로역에서 대불산단 간 인입철도는 '서남권 신산업철도'라는 명칭이 무색하게도 거의 활용되지 않은 상태로, 철도차량 생산회사들이 막대한 비용을 투입해야 하는 시험선로를 별도로 구축할 필요가 없이 사용가능한데다, 노선이 길어 고속주행시험도 가능하다.
게다가 인근에 목포신항과 고속철도 등 각종 SOC까지 구비, 미래의 열차훼리시스템 구축에도 대비할 수 있다는 장점까지 갖고 있어, 영암군과 박지원, 박준영 국회의원 등 지역정치권, 대불경영자협회 등 경제계, 지역민들의 적극적인 유치노력만 있으면 영암군을 철도차량 생산거점으로 만들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업계에 의하면 국내 철도차량 생산업체는 경남 창원의 현대로템과 경북 김천의 (주)로윈, 그리고 지난해 말 전북 정읍에 둥지를 틀기로 결정한 (주)다원시스 등 3곳이다.
이들 업체 가운데 로윈은 지난 4월 철도차량 생산시설을 확충하고 시험선로를 구축하기 위해 경북 김천공장에 550억원을 투자하기로 경북도와 MOU를 체결했다. 여기에는 1㎞짜리 시험선로 2개를 구축할 계획도 들어있다.
또 다원시스는 지난해 10월 전북 정읍에 철도·의료산업클러스터를 조성하는 MOU를 체결했다. 2020년까지 2단계에 걸쳐 정읍시 노령역 인근 6만평에 전동차 제작공장을 건설하고, 40여개 협력업체 이전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당시 광주광역시가 다원시스의 철도·의료산업클러스터 유치에 적극 나섰으나 최종 입지가 정읍으로 결정되면서 유치실패에 따른 책임론이 거론되기도 했다.
이처럼 철도차량 생산업체들의 시설확충을 위한 움직임이 빨라지면서 만시지탄의 감이 없지는 않지만 지금이라도 영암군이 유리한 입지여건을 앞세워 투자유치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영암군의 경우 철도차량 생산에 필수요건인 시험선로를 따로 구축할 필요가 없다. 관련기관과 협의가 이뤄질 경우 총연장 12.4㎞에 달하는 대불산단 인입철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고, 이렇게 될 경우 생산업체들은 고속주행시험까지 가능하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또 서남권 신산업철도라는 명목으로 건설된 인입철도는 대불산단이 조선업종으로 특화되다시피 하면서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어 2천억여원이 투입된 국가시설의 활용 측면에서도 투자유치를 서둘러야 한다는 여론이다.
또 최근 영암군이 국내 굴지의 대기업인 H사와 삼호읍, 학산면, 미암면 일대에 전용산업단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움직임과도 연관 지어 저렴한 공장 부지까지 제공한다면 철도, 항만, 고속도로 등 제대로 갖춰진 서남권의 SOC여건 등으로 보아 철도차량 제조회사들을 쉽게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대불산단의 한 입주업체 대표는 "철도차량 생산업체들이 시설을 확충하려면 가장 먼저 시험선로를 건설해야 하는데 규모가 고작 1㎞짜리여도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 그러나 영암군은 무려 12.4㎞에 달하는 산업용 철도가 깔려있고, 막대한 시설비에도 불구하고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다. 철도차량 생산업체들에게는 욕심나는 기반시설이고, 더구나 인근에는 철도, 항만, 도로 등 SOC가 거의 완벽하게 깔려 있다"면서, "영암군이 적극 나서서 국민의당 박지원 대표와 박준영 의원 등 그 어느 때보다도 막강한 힘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는 지역정치권과 대불경영자협의회 등 경제계와 힘을 모아 유치에 나선다면 철도차량 생산거점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열차페리시스템'은 화물을 실은 열차를 직접 배에 실어 운송하는 방식으로 내륙의 철도운송과 해상의 페리운송을 접목시킨 시스템으로, 2002년 한·중이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급부상했으며, 현 정부 들어 다시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막대한 파급효과가 기대되는 만큼 영암군과 전남도의 대비책 마련이 절실하다.
이춘성 기자 yanews@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