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접종 소홀로 발생했다는 구제역 사태
영암군민신문 yanews@hanmail.net
2025년 04월 11일(금) 08:52
덕진면의 한 한우농장에서 구제역 의심축이 발견되었음에도 방역당국의 확진판정을 위한 검사 전에 살 처분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한다. 이 농장은 이미 구제역이 발생한 곳으로 정기적인 임상예찰이 이뤄지는 곳이다. 추가로 의심축이 발견되었다면 당연히 정밀검사를 통해 확진여부를 가려야 마땅했다. 하지만 예방적 차원의 선제대응 명분으로 살 처분부터 했다는 것이다. 영암군 관계자는 살 처분 결정이 농장 소유주와 협의 아래 이뤄졌고, 혹시나 모를 추가 감염의 우려 때문에 집행한 것이지 구제역 발생을 은폐하기 위한 것은 아니라고 극구 해명하는 모양이다. 구제역 발생으로 왕인문화축제가 잠정 연기되는 등 지역경제에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 보여준 영암군의 방역태세라는 점에서 실망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렇지 않아도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 구제역 발생 사태는 영암지역 한우농가들의 백신접종 소홀과 방역 미흡 때문에 초래됐다고 진단했다. 농식품부는 현재 국내에서 접종하고 있는 구제역 백신은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백신으로 그 효과성이 입증된 상태라면서, 그간 구제역 예방을 위해 매년 2회(4·10월) 정기 백신접종을 추진해왔고, 농장에서 백신을 올바르게 접종하면 구제역 발생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영암지역 발생농장의 경우 대부분이 농장 내 일부 개체에서만 구제역 양성이 확인된 점을 볼 때 전 개체에 대해 백신접종을 실시하지 않고 일부 개체는 백신접종을 누락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실제 발생농장의 항체양성률을 보면 1차 비육동 12.5%, 3차 가족농장 43.8%, 4차 동거축 62.5%, 5차 동거축 65.0%, 6차 46.2%, 7차 75.0%, 11차 75.0%로 매우 낮았다. 특히 2024년 기준 영암군의 한우 백신항체 양성률은 92.3%(전국 97.3%)로 전국 기초지자체 중 가장 낮았다. 과태료(농가기준 항체양성률 80% 미만) 부과 농가 비율도 10.3%(전국 3.3%, 전남 3.8%)로 가장 높았다.

방역태세도 소홀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구제역 발생농장들은 출입구에 차량진입 차단장비 미설치 또는 미작동, 농장전용 의복 및 신발 미비치, 농장 축산차량 미등록, 농장 울타리 미흡, 소독약품 유효기간 경과 등 다수의 방역 수칙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가축운반·수의사진료 차량 등의 농장 출입 시 소독 등도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농식품부 지적을 그대로 받아들이긴 어렵더라도 뼈아픈 대목도 있다. 영암군의 철저한 방역태세 확립과 한우농가의 방역수칙 준수, 완벽한 백신접종체계 구축 등은 절박한 과제라는 뜻이다. 이는 실추된 영암지역 한우산업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지역경제의 활력을 되찾는 길이기도 하다.
영암군민신문 yanews@hanmail.net
이 기사는 영암군민신문 홈페이지(yanews.net)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yanews.net/article.php?aid=4337849556
프린트 시간 : 2025년 04월 13일 05:4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