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슬럼프 극복을 통한 행복한 여정을
영암군민신문 yanews@hanmail.net
2025년 07월 24일(목) 16:08
세한대학교 휴먼서비스학과 교수 정두배
살다 보면 누구나 슬럼프를 겪을 수밖에 없다. 평소에는 당연하던 일들이 무겁게만 느껴지고, 노력조차 버거운 순간이 찾아오기 때문이다. 슬럼프는 마치 내 앞길에 짙은 안개가 낀 것처럼 모든 것이 불투명하게 느껴지는 시간이다. 하지만 이 멈춤이 반드시 나쁜 것만은 아니다. 오히려 슬펌프를 통해 방향을 재정비하고 자신을 돌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슬럼프를 빠르게 극복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자신의 상태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용기이다. 우리는 종종 "이 정도는 버텨야지", "나약해지면 안 돼"라고 스스로를 몰아붙일 때가 있다. 하지만 감정을 억누르기보다는 지금 내가 지치고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 회복의 시작이다. 감정은 억제할수록 깊이 침잠하지만, 드러내면 생각보다 쉽게 가벼워질 수 있다.

하루의 루틴을 단순화하는 것도 회복에 도움이 됀다. 무리한 계획은 오히려 부담이 되므로, 할 수 있는 것부터 하나씩 실천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아침에 햇빛을 쬐며 산책하기, 따뜻한 차 한 잔 마시며 쉬기, 짧은 독서 시간 갖기 등 작지만 확실한 일상은 무너진 리듬을 다시 잡는 데 큰 역할을 한다. 루틴이 안정되면 마음도 점차 안정을 찾기 한다.다.

슬럼프에서 벗어나기 위한 작은 성취 경험의 축적도 중요하다다. 처음부터 거창한 목표를 설정하기보다, 아주 작은 일이라도 완수하고 “나는 할 수 있다,”는 감각을 다시 느끼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미뤄두었던 정리정돈을 해보거나, 짧은 글을 쓰는 등의 사소한 활동이 자존감을 회복하는 데 놀라운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인간의 마음은 움직이기 시작하면 점점 가속이 붙는 법이다.

또한, 기록의 힘을 활용해보는 것도 추천해본다. 감정일기를 쓰거나, 감사한 일을 하루에 세 가지씩 적어보는 간단한 습관은 생각을 정리하고 긍정적인 시선을 되찾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글로 표현된 생각은 머릿속을 맴도는 걱정보다 훨씬 다루기 쉽고, 자기 인식을 높여 더 나은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슬럼프를 극복하는 데 있어 몸의 신호에 귀 기울이는 것도 빼놓을 수 없다. 정신적인 무기력은 종종 신체의 피로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까닭에 규칙적인 수면과 가벼운 운동은 활력을 회복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운동이라고 해서 반드시 무리할 필요는 없다.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계단 오르기 같은 활동만으로도 엔도르핀 분비가 촉진되어 기분이 한층 가벼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몸이 살아나면 마음도 따라 깨어난다.

슬럼프에서 벗어나는 또 하나의 열쇠는 사람들과의 연결이다. 혼자서 감당하기 벅찰 때는 가까운 친구나 가족, 혹은 전문가와의 대화를 통해 마음을 나누는 것도 필요하다. 말 한마디, 따뜻한 공감이 건네는 위로는 예상보다 깊은 치유를 가져다준다. 혼자서 모든 것을 이겨내야 한다는 압박에서 벗어날 때 비로소 회복이 시작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내가 어디에 있는지가 아니라, 어디로 가고 싶은지를 잊지 않는 마음이다. 슬럼프는 때론 성장의 변곡점이 되기도 한다. 우리가 멈추고 돌아보는 그 순간,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전환점이 열리기 때문이다.

행복은 완벽함이 아닌, 자신을 존중하며 나아가는 여정 속에 있다. 슬럼프는 그 여정을 더욱 단단하고 깊이 있게 만들어주는 쉼표인 것 같다. 잠시 쉬었다 다시 걸어가면 된다. 중요한 건, 다시 걸을 수 있다는 사실을 믿는 마음이다. 빠른 슬럼프 극복을 통해 모두가 행복한 여정이 되시길 바랍니다.
영암군민신문 yanews@hanmail.net
이 기사는 영암군민신문 홈페이지(yanews.net)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yanews.net/article.php?aid=4400750224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26일 22:2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