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호읍번영협의회·영암군민신문 공동 주민설문조사
영암 삼호읍민의 63.3%가 자녀교육을 위해 인근 도시로 이주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돼 지역 교육환경개선이 여전히 초미의 지역현안인 것으로 분석됐다.
또 이와 관련해 삼호읍민들은 지자체의 교육환경에 대한 관심과 지원에 대해 ‘매우 만족’(3.42%) 또는 ‘만족’(16.0%)보다 ‘불만족’(20.42%) 또는 ‘매우 불만족’(4.75%)하다고 답했다.
특히 삼호읍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서는 근린생활시설(48.61%)을 갖추는데 가장 우선해야 하며, 목포시의 하당 또는 남악신도시와 같은 택지개발이 필요하다(87.97%)는데 대해 압도적인 찬성을 표시했다.
이 같은 결과는 삼호읍번영협의회(회장 이만구)와 영암군민신문이 공동으로 삼호읍 주민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삼호읍 교육환경 및 주거생활 주민설문조사’를 분석한 것으로, 향후 삼호지역 교육여건 및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민간차원의 노력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지 가늠자가 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관련기사 7면>
교육환경 개선과 정주여건 및 지역발전을 위한 설문 등으로 나누어 실시된 이번 조사에서는 삼호읍 초·중·고교 자녀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교육환경 만족도 평가결과 교내환경(40.38%), 교육방법(20.64%), 교외지도(8.92%), 통학버스(8.15%) 등의 순으로 만족감을 표시했다. 학부모들은 또 ‘우선시 되어야할 자녀교육’으로 73.35%가 인성교육을 꼽았으며, 성적향상(9.28%), 우수 학교 진학(8.74%), 특기개발(8.3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자녀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학교에서 방과 후 시간을 이용해 특별반을 운영하는 문제에 대해 응답자의 압도적 다수인 78.56%가 ‘찬성한다’고 답했으며, 반대는 18.61%에 불과했다.
특히 삼호지역의 교육활성화를 위해 최우선 투자되어야할 일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42.30%가 ‘우수 교원 확보’를 꼽았으며, 학교시설(27.13%), 외국어 학습(14.85%), 장학금 지원(13.6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올해 개교한 삼호고교에 자녀를 진학시킬 의향이 있는지에 대한 물음에 대해서는 ‘예’(54.31%)와 ‘아니요’(45.85%)라는 응답이 엇갈리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삼호고를 자율형 공립고로 지정하는 것에 대해서 응답자들은 83.19%가 찬성했고 반대는 12.86%에 그쳤다.
삼호지역 초·중·고교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지자체의 지원에 대해 응답자의 55.41%는 ‘보통’이라고 답했으며, ‘매우 만족’(3.42%) 또는 ‘만족’(16.0%)보다 ‘불만족’(20.42%) 또는 ‘매우 불만족’(4.75%)하다고 답한 경우가 더 많았다.
자녀 교육을 위해 인근도시로 이주할 계획이 있는지에 대한 물음에서는 응답자의 63.34%가 그렇다고 답했고, 그 이유에 대해서는 상급학교 진학(33.49%), 학원 및 학생 편의시설 부족(28.59%), 인접 도시와의 성적(실력) 차이(27.01), 학교생활 불만족(6.48%) 등을 꼽았다.
정주여건 개선 및 지역발전을 위한 설문에서는 삼호읍민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가는 이유로 응답자의 대다수가 자녀교육(66.63%)을 꼽았으며, 문화생활(13.07%), 근린생활시설 부족(9.56%), 주거환경 미미(9.03%) 등을 꼽기도 했다.
이에 따라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가장 우선해야할 일로는 근린생활시설(48.61%)의 확충을 꼽았으며, 주택 및 아파트(25.80%), 교통편익 및 도로망 구축(21.52%) 등도 과제로 들었다.
목포시의 하당 신도심과 남악 신도시와 같은 택지개발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절대다수인 87.97%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삼호지역에 민영아파트(옛 30-40평형)가 건설 분양된다면 입주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역시 대다수인 61.17%가 ‘있다’고 답했다.
설문조사는 지난달 25일부터 30일까지 조사자들이 직접 배부한 뒤 수거하는 방법으로 실시됐으며, 성실한 설문조사를 위해 삼호읍번영협의회 이만구 회장이 각급학교와 현대삼호중공업, 대불산단 입주업체 등과 사전 설명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이만구 회장은 “삼호지역의 발전과 교육여건의 개선을 위해 주민들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 개략적인 윤곽이 파악된 만큼 이를 토대로 내달 중 전문가들을 초청한 가운데 토론회를 여는 등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편집국장 기자 yanews@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