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 해수소통 생태복원 촉구 결의대회 이모저모
검색 입력폼
 
자치/행정

영산강 해수소통 생태복원 촉구 결의대회 이모저모

영산강 관련 환경단체, 사회단체, 수산인 단체 등으로 구성된 '영산강 생태복원을 위한 광주·전남 시민단체협의회'(상임대표 김성대 민물장어양식수산업협동조합 조합장)가 영산강 하구의 해수를 소통시켜야 한다는 요구를 본격화하고 나섰다.
일각에서는 그동안 시민·환경단체들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영산강 하구 해수소통 필요성이 제기되어왔고, 관계 기관도 적극적인 검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요구는 시의적절 했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실제로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영산강 하구 생태복원 및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용역을 추진하는 등 하굿둑 관리 방안 마련에 들어갔다.
이낙연 전남지사도 "'영산강 하굿둑의 문을 절반쯤 열자'는 아이디어를 토대로 출발한 용역 결과가 나오는 대로 수질개선사업을 한발 앞서 추진하면 좋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밖에 전남도의회 보건복지환경위원회와 영산강 하굿둑 기수(하구) 수생태복원협의회도 토론회 등을 통해 여론을 조성하고 있다. 해수소통이 환경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는 공감대가 점차 확산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영산강 생태복원을 위한 광주·전남 시민단체협의회의 이번 결의대회는 관계기관까지 적극성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졌다는 점에서 영산강 하구 해수소통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산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전남기후환경네트워크 상임대표를 맡고 있는 김성대 조합장은 "영산강은 1981년 하굿둑 준공 이후 수질이 지속적으로 악화되었고,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에도 불구하고 영산호 수질은 4등급 수준"이라면서, "어족자원, 갯벌, 습지면적 등이 감소하면서 영산강 하구의 생태환경적 가치는 훼손되어 하굿둑이 없는 한강과 섬진강의 1/6, 1/4 수준이며, 하굿둑 건설 이전 영산강 수계 주변지역에 풍부하게 형성되었던 어족자원과 음식문화가 거의 소멸되면서, 소득구조와 지역경제에 큰 변화까지 초래했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또 "남악신도시, J프로젝트, 영산강 역사관광 자원화를 위해서는 영산강 수질이 최소 2급수는 되어야 하지만 그 관리에는 농림부, 농어촌공사, 국토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전남도, 각 시군 등의 업무 혼선과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만 높아지고 있다"며, "국내의 시화호나 해외의 네덜란드 등의 사례를 보더라도 해수소통을 통한 수질개선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결의대회에서 참석자들은 영산강 해수유통에 필요한 용역과 업무혼선을 피하기 위해 통합 관리 행정시스템을 만들어 운영할 것을 촉구했다. 또 정부가 영산강 하굿둑 해수유통과 기수 생태복원을 위해 시민단체와 긴밀한 협의와 협조를 통해 영산강 생태복원을 가속화 할 것도 아울러 촉구했다.

■인터뷰 - 김성대 전남기후환경네트워크 상임대표
"영산강 생태복원 이젠 현실로 만들 때"
"영산강은 호남인의 어머니이자 젖줄입니다. 마한문화와 고대문화유적이 숨 쉬고 있는 우리의 생명줄이기도 합니다. 영산강 생태복원이라는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다함께 노력합시다."
영산강 생태복원을 위한 광주·전남 시민단체협의회를 이끌고 있는 전남기후환경네트워크 김성대 상임대표는 "영산강은 1981년 하굿둑이 축조되면서 4대강 중 최하위 수준으로 오염되어 그 많은 어족자원과 천혜의 갯벌 등 생태적 환경적 가치가 훼손되어 서남권 경제의 피폐화를 가져왔다"면서, "남악신도시와 J프로젝트, 영산강역사관광자원화를 위해서는 수질이 최소 2급수가 되어야 하는 만큼 단계별 해수유통이 시급하다"며 이처럼 각계의 동참을 촉구했다.
김 대표는 "해수유통은 옛날 영산강에 풍부했던 장어와 숭어, 운저리와 짱뚱어 등 어족자원과 갯벌과 갈대밭을 복원해 국제적인 생태관광지로 거듭나게 할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순천을 중심으로 하는 동부권과 서남권을 잇는 국제적인 관광벨트를 이룩하자"고 역설하기도 했다.
이승범 기자 stonetigs@hanmail.net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