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써 월출산 스테이션-F 조성사업은 2020년 10월 전남도 지방재정투자심사에서 ‘조건부(2차 심사)’로 받아들여졌고, 전국 각지의 유사 시설에 대한 벤치마킹 등을 통해 차별화된 시설을 도입, 계획을 가다듬었으나, 이번에는 전남도로부터 적정시설이 아니라는 지적과 함께, ‘효율적인 시설 운영 및 유지 관리 방안 마련’, ‘객관적 수요를 토대로 수지 전망 재분석 및 수지 개선방안 마련’ 등의 이유로 2차 심사를 통과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제반 행정절차를 끝낸 뒤 예정했던 올 연말 공사계약 및 사업착수가 불투명해짐은 물론 계획대로 완공 역시 요원해졌다. 월출산 활용법이 민선 8기에 들어서도 여전히 ‘속 터지는’ 진행 상황인 것이다.
월출산 스테이션-F 조성사업은 국립공원 월출산을 활용한 관광자원의 ‘문화뉴딜사업’으로, 당초에는 천황사지구 인공암벽경기장에서 대동저수지 일원까지 7㎞ 구간에 체험형 거점관광지 4곳을 조성하고, 운송수단으로 연결하는 자연친화형 관광상품이었다.
체험형 거점관광지 4곳은 ▲영암 氣 타워 ▲사자 氣 스테이션, ▲천황 氣 스테이션, ▲스카이 氣 스테이션 등으로, 이들 4개 거점을 짚라인과 모노레일, 세그웨이, 전기자전거 등으로 연결하는 구상이다. 총사업비는 190억원(도비 및 군비 95억원)이며, 사업기간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였다.
특히 군은 월출산 스테이션-F 조성사업이 2020년 10월 전남도 지방재정투자심사를 조건부로 통과함에 따라 11월 중기지방재정계획에 반영, 2021년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을 거쳐,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사업 시행에 나선다는 계획이었으나, 이번엔 2차 투자심사에 발목이 잡혔다.
전남도는 1차 심사 때 ▲시설별 규모 적정성 방안 검토, ▲효율적인 시설물 유지 및 운영 관리 방안 마련, ▲시설별 안전관리 대책 강구, ▲민원 최소화 방안 및 자연환경 훼손 대책 마련, ▲도비 분담 협의 및 조달방안 마련 등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군은 이에 전국 각지 유사 시설에 대한 벤치마킹 등을 통해 체험형 거점관광지 4곳을 조성하는 방식에서 ‘스카이 글라이더’, ‘모터짚’, ‘알파인코스터’ 등 체험형 관광시설 3종의 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으로 변경했다. 또 지난 8월 22일 열린 의원간담회에서는 모터짚을 제외한 스카이글라이더와 알파인코스터, 사계절 썰매장 등의 시설물을 설치하겠다고 의원들에 설명했다. 계획대로 추진되면 ‘월출산 스카이글라이더’는 강원도에 이어 국내 2호 시설이고, ‘월출산 알파인코스터’는 강원과 충청에 이어 국내 5호 시설로 관광객 매력도가 높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효율적인 시설물 선택에 신중을 거듭했으나 최근 열린 2023년 제3차 전남도 지방재정투자심사에서 ‘반려’ 처분이 내려졌다. 특히 그 사유를 보면 강원도 3곳, 충청도 1곳뿐으로 충청 이남에서는 유사 시설이 부재해 관광객을 유입할 매력도가 높다고 조사된 ▲‘알파인코스터’는 ‘영암과 맞지 않는 시설’이므로 다른 대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들어있다. 벤치마킹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업의 공동주체인 전남도와 영암군의 생각이 다른 것이다.
또 ▲기존 사업계획 변경 등에 따른 실시설계 용역 완료 후 재 상정, ▲효율적인 시설 운영 및 유지관리 방안 마련, ▲객관적인 수요를 토대로 수지 전망 재분석 및 수지 개선방안 마련, ▲자연 훼손을 최소로 하고 안전하며 지속 가능한 시설이 될 방안 마련, ▲지형을 고려한 설계에 따라 사업비가 크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실시설계를 반영한 현실적인 사업비를 산출하고 이를 경제성 분석에 반영해 다시 수행, ▲시설 도입기준과 계략 공사비 산정 세부 내역 제시 등 무려 7가지 보완사항이 제시돼 사실상 원점재검토가 불가피해졌다.
국립공원 월출산을 활용한 사업 가운데 가장 착수 가능성이 높았던 월출산 스테이션F 조성사업이 이처럼 차질을 빚게 됨에 따라 ‘월출산 활용법’은 전임 민선6,7기나 민선8기에도 한치의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어 군민들을 속 터지게 만들고 있다.
한편 월출산 스테이션F 조성사업은 사업타당성 분석결과 사업 준공 다음 해부터 순이익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됐다. 생산유발효과는 379억4천300만원, 부가가치 창출효과는 152억7천600만원, 소득유발효과는 37억2천400만원, 고용유발효과는 992.8명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현재처럼 군이 사업을 추진해 준공 후 민간위탁을 검토한다는 계획보다도 사업 추진을 위한 행정절차 이행과 부지 확보 등은 군이 직접 추진하되, 시설물 조성 및 운영은 민간자본을 유치하는 방안이 더 적절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춘성 기자 yanews@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