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발한 고병원성 AI 토착화하나?
검색 입력폼
 
농업경제

재발한 고병원성 AI 토착화하나?

고병원성 확진판정 이어 인근 육용오리농장서도 잇따라 발생

AI 바이러스 토착화 가능성 염두 전수조사 예산확충 등 절실
연중 발생 상시발생국 오명 가금류 수출판로 막힐 우려도 커
농림축산검역본부 정밀조사결과 지난 9월23,24일 도포면 구학리 김모씨의 육용오리농장에서 오리 1천200여마리가 폐사한 것은 고병원성(H5N8형) AI 때문으로 확진됐다.
특히 김씨의 육용오리농장 뿐 아니라 인근의 육용오리농장 2곳과 신북면 월지리 육용오리농장 2곳에서도 양성반응을 보였고, 시종면 봉소리에서까지 의심신고가 접수되는 등 AI 바이러스가 또다시 확산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영암군과 전남도, 농림축산식품부 등은 AI 바이러스 확산방지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감염경로를 찾기 위해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다.
군은 가금농가 실명제 담당공무원을 재지정하고 농가의 소독실태에 대한 점검에 나섰다.
도는 고병원성 AI차단을 위한 대규모 행사 및 각종 기념식을 자제해줄 것을 도내 각 시·군에 협조요청 했다.
하지만 이 같은 조치에도 불구하고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9월4일 AI 방역대 및 이동제한 조치를 해제한 지 20여일 만에 재발하면서 우리나라에 AI 바이러스가 토착화 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점점 비중이 실리고 있다.
또 이에 따라 우리나라가 자칫 AI 상시 발생국이라는 오명을 갖게 될 경우 가금류 수출 전반에 타격까지 우려되는 상황이어서 당국은 물론 축산업계 전체가 전전긍긍하고 있다.
■재발한 AI 방역현장
지난 9월23일 도포면 구학리 김모씨의 육용오리농장에서는 오리 200여마리가 청색증과 함께 신경계 이상 증세를 보이며 폐사한데 이어, 24일에도 1천여 마리가 같은 증세로 폐사했다. 간이검사를 실시한 결과 AI 바이러스가 검출됐고, 시료를 채취해 농림축산검역본부에 확진 판정을 의뢰한 결과 고병원성으로 확진됐다.
뿐만 아니라 김씨 농장으로부터 500m 반경에 있는 정모씨의 육용오리농장과 800m 반경에 있는 양모씨의 육용오리농장에서도 양성반응이 나왔다. 또 신북면 월지리 임모, 강모씨의 육용오리농장의 분변토 검사결과 모두 양성반응을 보였다.
더욱 심각한 것은 김씨 농장으로부터 3.9km나 떨어진 시종면 봉소리 육용오리농장에서도 30일 AI 의심축이 신고됐다. 2만6천마리의 육용오리를 키우고 있는 이 농장에서는 오리 폐사수가 10~20마리에서 200마리로 증가하는 등 AI 의심증상을 보였다.
군은 해당농가에 초동방역팀을 투입하고 이동통제 등 AI 대응 메뉴얼에 따라 조치 중이다.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농장에 대해서는 사육중인 육용오리 13만700마리를 살 처분하고, 발생농장으로부터 3㎞내 보호지역과 10㎞내 예찰지역 등의 85농가에 대해 다시 이동제한명령을 내렸다.
군은 특히 9월30일 팀장급 공무원이 모두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갖고 가금농가 실명제 담당공무원 재지정 및 농가 소독실태 점검에 나서도록 했다.
또 도가 고병원성 AI 차단을 위해 대규모 행사 및 각종 기념식을 자제해줄 것을 협조요청 함에 따라 각 읍면민의 날 행사 등을 최소한 간소화해 치르고, 행사장 입구에는 방역시설을 설치하는 등 차단방역을 철저히 하도록 했다.
영암지역에서는 지난 1월29일 덕진면 장선리 종오리 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이후 지난 6월26일 군서면 양장리에서도 발생하는 등 한동안 계속되다 최근까지 발생이 없었다.
■ AI 상시 발생국 오명 쓰나?
농림축산식품부가 AI 종식선언을 한지 불과 20여일 만에 재발함에 따라 근본적인 대책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 AI 바이러스가 토착화 된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전수조사 실시 및 관련 예산 확충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무엇보다 우려되는 부분은 이번 영암에서의 AI 재발로 우리나라가 AI 상시 발생국이라는 오명을 쓸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될 경우 가금류의 해외수출이 중대한 차질을 빚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방역당국과 영암군, 전남도 등은 10월부터 AI 특별방역대책기간을 설정, 사전예방에 들어갈 예정이었다. 그러나 영암에서 고병원성 AI가 재발하면서 거의 1년 내내 산발적으로 발생, 자칫 AI 상시 발생국으로 통용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관계자들을 바짝 긴장하게 만들고 있다.
축산 관계자들은 “이번 AI 발생으로 가장 우려되는 점은 우리나라가 상시 발생국이라는 오명을 쓸 수도 있다는 것”이라며 “AI가 발생하면 닭과 오리 등 신선육의 수출이 전면 중단되는 것은 기본이고, 설사 상황이 마무리되더라도 해외육가공업체들이 거래선을 다른 나라로 돌려 국내 가금류의 수출 판로가 막힐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실제 올해 축산물 수출검역통계에 의하면 지난 1~8월 닭고기 신선육 수출량은 1만269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816t 감소했다. 삼계탕 수출량은 8월 현재까지 455t으로 지난해 같은 때(1215t)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AI 바이러스의 토착화 가능성에 대해 철저한 조사를 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즉 전국의 닭과 오리 농장에 AI 바이러스가 잔존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대대적인 전수조사를 실시해야 하고, 이를 위한 방역예산과 전문 인력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편 '종식선언' 20일만에 고병원성AI(H5N8형)가 발생하면서, 토착화 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데 대해 전남도는 "소독 등 차단방역을 철저히 하면 충분히 사멸할 수 있다"며 농가에 당부하고 나섰다.
도는 분석결과 올해 AI가 산발적으로 발생한 것은 전남이 올해 발생한 H5N8형에 감수성이 높은 오리사육 주산지(전국 56%)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바이러스 특징이 폐사율은 20% 이내로 낮은 반면 바이러스 배출기간이 10일 이상으로 길고, 오리축사 시설 대부분이 열악한 비닐하우스 형태인데다 장기간 방역으로 인한 농가 자율방역 의식이 소홀했던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고 덧붙였다.
도는 이에 따라 소독, 사육밀도 준수 등 차단방역을 철저히 이행한다면 조기에 충분히 바이러스를 사멸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이춘성 기자 yanews@hanmail.net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