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 시티(slow city)
검색 입력폼
 
오피니언

슬로 시티(slow city)

이탈리아의 그레베 인 키안티(Greve in Chianti), 세계 첫 '슬로 시티(slow city)'다.
이 곳이 자랑하는 세 가지가 있다. 고용율 100%로 전 주민이 직업을 갖고 있고, 소득수준이 이탈리아 중소도시 평균보다 훨씬 높으며, 세계적인 관광도시임에도 범죄율은 전국에서 가장 낮다. 과거엔 우리 농촌처럼 인구와 소득감소, 고령화가 심각했다. 소득원은 해발 500-700m 산간의 계단식 포도·올리브 밭이 전부였다. 인구 1만4천명의 보잘 것 없는 이 도시를 탈바꿈시킨 계기가 바로 '슬로 운동(slow movement)'이다.
'슬로(slow)'는 단순히 '속도'를 뜻하지 않는다. 이 보다는 자연과 인간에 대한 '즐거운 기다림'이다. 물질과 기계 속도에 맞추는 대도시가 '패스트 시티(fast city)'라면 인간과 자연환경 속도를 존중하는 삶이 유지되는 곳이 바로 슬로 시티, '즐거운 기다림의 도시'다. 현대문명을 거부하고 과거로 회귀하자는 게 아니다. 인간과 환경을 위협하는 '효율성'과 '속도' 지상주의서 탈피해 자연적인 삶으로의 복귀를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자는 게 목표다. 대량생산과 규격화, 산업화와 기계화를 통한 '패스트 푸드', 즉 맛의 표준화를 지양하고 국가별 지역별 특성에 맞는 전통적이고 다양한 식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려는 움직임을 '슬로 푸드(slow food)운동'이라한다. 바로 슬로 시티의 출발점이다.
그레베 인 키안티의 파올로 사투르니니(Paolo Saturnini) 시장이 1999년 '슬로시티 선언문'을 선포하는 데는 고집스럽고 의미 있는 노력이 뒷받침됐다. 바로 절대로 지역민이 중심이 되어야 하고, 지역민 또는 마을이 주인공이어야 하며, 철저하게 지역민의 소득증대를 염두에 둔 점이다. 파올로 시장은 취재 온 언론이나 견학 온 관광객들에게 시장 자신이 아니라 정육점 주인, 포도농장주인 등을 앞세워 '스타'로 만들었다고 한다. 일정구역에만 주차장을 만들어 방문객들은 모두 걸어서 마을을 돌게 했다. 도시 전체를 자연친화적 산책로로 만들었다. 마을 체재시간을 늘려 지역 내 소비를 높인 것이다. 최초의 슬로시티는 고집스런 지역민과 파올로 시장의 이런 '그린 리더십(green leadership)'이 더해진 결과물이다.
일본에는 슬로 시티와 유사한 '슬로 타운'이 있다. 16개 현·도·부 21개 시·정·촌에 퍼진 슬로타운운동은 11가지 계명 자율준수가 골자다. 산지생산 산지소비(地産地消), 농가의 리폼, 향토문화·예능·공예품·요리의 리뉴얼, 1+1=3운동(아이 많이 낳기) 등등. 주택개량에 출산장려까지, 우리의 70년대 '새마을운동'을 연상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무작정 초가집을 없애고 기와집도 슬래트지붕으로 바꾸는 '패스트 운동'이 아니라 슬로 운동인 점에서 그 근본부터가 다르다.
신북면 모산 마을이 최근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해 열린 '제1회 행복마을 만들기 콘테스트'에서 경관·환경 분야 은상을 수상했다. 모산 마을은 농어촌권역별개발사업인 '전댓들권역개발사업'으로 새롭게 가꿔진 곳이다. 이에 앞서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가 공모한 2015년 창조지역사업에서는 역시 신북면의 선애마을의 '자연을 살리는 체험학교'가 최종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선애마을은 2010년 생태적인 삶에 뜻이 있는 동호인들이 모여 귀농마을을 조성한 곳으로 16가구 30여명이 모여 자연농법, 생태화장실, 빗물활용, 선순환퇴비장 등 친환경공동체생활을 해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천년고을인 군서면 구림마을을 슬로 시티로 지정하자는 움직임도 일고 있다. 비록 작은 규모의 커뮤니티운동이기는 하지만 주민이 주인이 되고, 자기 고장을 스스로 가꿔가자는 움직임들인 점에서 반갑기 그지없는 일이다. 특히 전댓들권역 뿐 아니라 영암지역 곳곳에 농어촌권역별개발사업이 결실을 맺어가는 만큼 소중한 예산이 투입되어 가꿔진 마을에 슬로 시티 운동이나 슬로 타운 운동 같은 주민 주도의 내 고장 가꾸기 운동을 대대적으로 벌여보면 어떨까?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