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영암군의 2018년 상반기 15세 이상 인구는 4만9천800명이며, 이 가운데 경제활동인구는 3만1천900명, 비경제활동인구는 1만7천900명이었다. 따라서 경제활동참가율은 64.0%다. 또 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취업자는 3만1천500명, 실업자는 400명으로, 고용률은 63.3%였다. 장기화하고 있는 조선업 불황과는 대조적인 일이자 비교적 높은 고용률이다. 영암군의 고용률 변화추이 또한 2∼3년 새 유의미한 점을 발견하기 어려울 만큼 안정적이다. 하지만 영암군의 근무지기준 고용률은 93.6%에 육박한 반면, 거주지기준 고용률이 63.3%로 조사된 점은 예사롭지 않은 일이다. 또한 근무지기준 취업자는 4만7천명인데 비해, 거주지기준 취업자는 3만2천명으로 1만5천명이나 차이가 났다.
앞서 지적한대로 근무지기준 고용률이 거주지기준 고용률 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인근지역에서 해당 시·군의 공공기관 및 산업단지로의 통근 인구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멸위험지수(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나눈 값)가 해를 거듭할수록 급격하게 낮아지는 등 소멸위험에 직면한 영암군으로서는 결코 간과해선 안 될 일이다. 본보는 3년 전 호남지방통계청이 실시한 '2015년 상반기 전남지역별 고용조사 결과'에서도 같은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그러면서 영암군에 필요한 최우선 정책은 정주여건 개선임을 강조했었다. 이는 지금도 유효하다. 우리 고장은 월출산국립공원이라는 자연경관과 사통팔달의 교통여건을 갖고 있다. 광주광역시와 빛가람혁신도시의 배후도시(전원도시)로 손색이 없다. 날로 심화하는 인구 고령화를 감안하면 복지분야 투자도 타당성 있다. 하지만 이대로 가다간 영암군이 없어진다. 복지보다도 정주여건 개선을 통한 인구증가야 말로 영암군정의 최우선 정책이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