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욱 심각한 것은 영암군의 지역안전지수가 7개 지표 모두 최근 4년 동안 답보상태에 있는 점이다. '교통사고'는 2015년과 2016년 최하위 등급인 각각 5등급에서 2017년과 2018년에는 각각 4등급으로, 다소 개선은 됐지만 여전히 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다. '화재'도 2015년 2등급, 2016년 3등급, 2017년 2등급, 2018년 3등급으로 답보상태이며, '범죄'는 2015년과 2016년 각각 5등급에서 2017년과 2018년은 각각 4등급으로 하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올해 크게 향상된 '자연재해'도 대비태세가 개선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2015년 5등급, 2016년 4등급, 2017년 5등급, 2018년 2등급 등으로 변화가 심하기 때문이다. 이밖에 '생활안전'은 2015년 2등급, 2016년과 2017년 각각 4등급, 2018년 3등급이었고, '자살'은 2015년과 2016년 각각 2등급, 2016년 4등급, 2018년 3등급이었다. '감염병'은 2015년부터 2018년까지 모두 3등급으로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지역안전지수'는 자치단체의 안전관리 책임성을 강화하고 자율적인 개선을 유도하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공개하고 있다. 상대평가 방식을 취하고 있어 단순히 등급만으로 인근 지자체와 안전수준을 직접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는 않다. 하지만 전반적인 지역안전지수가 하위권에 맴돌고 있는 상황은 예삿일이 아니다.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도 "지역안전지수 공개는 지자체 평가가 목적은 아니나 지역의 안전수준을 제대로 진단하고 과학적으로 개선해 나기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또 "앞으로 자치분권의 큰 흐름 속에 안전 분야도 지자체의 역할이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다. 영암군을 중심으로 유관기관 및 사회단체들과 머리를 맞대고 지역안전지수 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 이를 통해 안전한 영암군을 만들어가야 한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