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월 기준 영암군의 소멸위험지수는 0.268로 '소멸위험진입' 단계에 있으며, 영암읍과 삼호읍을 제외한 면 단위는 모두 '소멸고위험' 단계로 나타났다. 또 100년 후 영암군의 소멸위험지수는 0.055로 더욱 떨어져 소멸고위험 상태에 처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 같은 사실은 11월 10일 월출산 氣찬랜드 내 한국트로트가요센터 공연장에서 '지역소멸위기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열린 '영암희망포럼'에서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일자리평가센터장이 발표한 '영암의 일자리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과제'란 논문에 따른 것이다.
일본 창성회의 의장인 마스다 히로야가 지난 2014년에 쓴 '지방소멸'의 분석방식을 원용해 '지방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보고서'를 내기도 했던 이상호 센터장이 제시한 지방소멸위험 지수는 지역공동체의 세대간 불균형과 미래 지속가능성 정도를 측정하는 지수로, 20∼39세 여성인구(3천972명)를 65세 이상 인구(1만4천804명)로 나눈 값이다. 1.5 이상이면 저위험지역,1.0∼1.5 미만은 정상지역, 0.5∼1.0 미만은 주의단계, 0.2∼0.5 미만은 소멸위험진입, 0.2 미만은 소멸고위험 단계로 분류된다.
이 센터장의 분석에 의하면 2021년 5월 기준 영암군 전체적으로는 소멸위험지수 0.268로 '소멸위험진입' 단계에 있는 가운데 영암읍 역시 0.300으로 소멸위험진입 단계이며 삼호읍은 0.809로 주의 단계, 삼호읍서부출장소는 1.032로 정상지역이었다.
반면 면 단위는 모두 소멸고위험 단계로, 학산면 0.157, 도포면 0.125, 군서면 0.122, 미암면 0.110, 신북면 0.108, 시종면 0.094, 덕진면 0.091, 금정면 0.087, 서호면 0.085 등이었다.
영암지역 일자리에 대해 이 센터장은 조선업 위기 후 2만6천명에서 2만명으로 6천명이 감소한 이후 최근 2만5천명으로 회복되었으나 경기회복 국면임에도 잦은 이직 등으로 실업급여 수급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영암군의 청년층 취업자는 지난해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전체취업자의 10% 수준으로 '일자리 양의 위기'와 '일자리 질의 위기'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영암군으로 한정할 경우 제조업이 발달한 삼호읍이 일자리 질이 높고, 영암읍 중심의 남동부지역, 그리고 북부지역 순으로 일자리 질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센터장은 이어 영암군 임금근로자의 전국 평균 대비 상대임금은 2016년 91.5를 기록한 후 2021년 83.1 수준으로 하락하는 등 2016년을 정점으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비수도권 평균이나 전남 평균과 비교할 때도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산업별 고용구조도 변화가 있어 영암군의 농업과 제조업은 2013년 60%에 이르렀으나 추세적으로 하락해 2021년에는 절반 미만 수준으로 낮아졌다. 아울러 전문직 비중도 2015년 이후 감소세에 있고, 생산직을 중심으로 고용비중이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센터장은 영암지역 일자리 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조선업 실직자들의 재취업률도 높고 역내 재취업률도 높으며, ▲조선업은 높은 경기변동성과 고용의 불안정성, 노동력의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고, ▲낮은 임금과 열악한 근로조건 때문에 불법체류자인 외국인 노동자 의존도가 높다고 진단했다.
이 센터장은 이런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 대안적 정책과제로 4차 산업혁명과 결합된 스마트한 지역공동체 사례를 지원하고 촉진함으로써 새로운 청년인구 유입을 촉진할 매력적인 지역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열린 '영암희망포럼'에는 우승희 군수를 비롯한 실·과·소장과 관련 공무원, 정책전문가 등이 참여했다. ▲천재철 기획감사실장이 '영암군 지역소멸 대응방안'이라는 현황보고에 이어,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일자리평가센터장의 '영암의 일자리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과제', ▲변창흠 전 국토부장관의 '지역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주거플랫폼 구상과 실행모델 제안' 등의 주제발표와 토론회가 이어졌다.
영암군민신문 yanews@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