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센터장은 일본 창성회의 의장인 마스다 히로야가 2014년에 쓴 '지방소멸'의 분석방식을 원용해 '지방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보고서'를 내기도 했다. 그가 제시한 지방소멸위험지수는 지역공동체의 세대 간 불균형과 미래 지속가능성 정도를 측정하는 지수다. 즉 20∼39세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이다. 그 결과 1.5 이상이면 저위험지역, 1.0∼1.5 미만은 정상지역, 0.5∼1.0 미만은 주의단계, 0.2∼0.5 미만은 소멸위험진입, 0.2 미만은 소멸고위험 단계로 분류된다. 이 센터장은 이번 포럼에서 영암지역 일자리가 조선업 위기 후 2만6천명에서 2만명으로 6천명이 감소한 이후 최근 2만5천명으로 회복되었으나 경기회복 국면임에도 잦은 이직 등으로 실업급여 수급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영암군의 청년층 취업자는 지난해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전체취업자의 10% 수준으로 '일자리 양의 위기'와 '일자리 질의 위기'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목해야할 문제점이라고 할 것이다.
이 센터장은 대안적 정책과제로 4차 산업혁명과 결합된 스마트한 지역공동체 사례를 지원하고 촉진함으로써 새로운 청년인구 유입을 촉진할 매력적인 지역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소 어려운 얘기로 들리지만 민선8기 우승희 군수가 청년들이 돌아오는 젊은 영암을 만들겠다는 구상과 같은 차원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이다. 우 군수는 이를 위해 조직개편을 통해 '인구청년정책과'를 신설해 가동을 시작했다. 40대 젊은 공직자들을 대거 배치하기도 했다. 아직 구체적인 정책을 거론하기는 이를 것이다. 하지만 실행가능하고 뚜렷한 효과를 낼 정책이 절박한 상황임을 명심해야 한다. 지역소멸은 더 이상 탁상공론이 필요한 상황이 아니다.
영암군민신문 yanews@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