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품위 무화과 수매장인 대불하수처리장을 찾은 우승희 군수는 "저품위 무화과의 시장 유통을 막고, 고품질 무화과의 시장 출시로 소비자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며, "이번 수매를 포함해 무화과 주산지인 영암군의 명성을 이어나가고 농업인의 소득도 높이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군수 다짐에 토를 달 의도는 없다. 다만 2016년부터 시작된 저품위 무화과 수매의 효과에 대해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은 하지 않을 수 없다. 우선 저품위 무화과 수매는 당초 취지가 크게 변질됐다. 2016년 시작 당시는 병과를 논·밭두렁에 방치해 충이나 균이 다시 3단, 4단으로 올라가는 것을 막기 위한 '병과 처리비용' 지원 차원이었다. 그러나 점차 총채벌레 피해농가의 소득을 보전해주거나 가격하락을 막기 위한 '병과 수매비용'으로 인식되고 있다. 지자체가 예산을 들여 병과(病果)를 수매해주는 사례는 과수작목 중 영암의 무화과가 거의 유일하다는 비판도 그냥 넘길 일이 아니다. 영암 무화과가 지리적표시제 제43호이자 영암군의 대표 과수작목인 점은 인정하나 영암을 대표할 다른 과수작물도 많다.
2015년 당시 중소기업청이 영암군을 '무화과산업특구'로까지 지정했음에도 무화과 주산지의 재배면적은 40%대로 추락했다. 특구 사업을 주먹구구로 추진한 사실은 <영암군민신문>이 누차 보도한 바 있다. 영암군이 총채벌레 피해를 입은 무화과까지 수매해주는 사이 인근 해남군이나 신안군, 경남 남해군은 고품질 무화과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저품위 무화과 수매가 삼호읍을 중심으로 한 영암 무화과 재배농가들의 현실안주를 부추겨 오히려 무화과 주산지의 지위를 점점 약화시키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무화과 생산과 유통에도 혁신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영암군민신문 yanews@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