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군(군수 우승희) 보리·밀 등 맥류 주 재배지역을 중심으로 이달 21일까지 생육 재생기 이후 거름 관리와 습기 피해 발생 예방을 위해 현장기술지원에 나섰다. ‘생육 재생기’란 식물이 추위를 견디기 위해 휴면 상태로 겨울을 나고, 기온이 상승하면 깨어나 양분을 이동하는 기간을 말한다. 영암 지역의 경우, 보통 2월 상·중순 경이 이 시기에 해당하지만, 올해는 한파의 여파로 다소 늦은 이달 15일로 예측되고 있어서, 15~25일 사이 웃거름을 줘야 효과를 볼 수 있다. 웃거름 양은 0.1ha당 밀·겉보리·쌀보리는...
지역사회 이승범 기자2025. 02.14농업기술센터(소장 박지언)는 2월 6일부터 10일까지 관내 맥류 주 재배지역을 중심으로생육재생기 이후 비배 관리를 위한 현장기술지원에 나섰다. 생육재생기에는 월동 후 기온상승에 따라 맥류의 새로운 잎과 뿌리가 증가하는 시기로, 이 시기에는 웃거름 사용으로 수당립수를 증가시키고 생육 후기까지 비효 지속기간을 연장하여 등숙율을 좋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영암지약 맥류 생육재생기는 1월 이상고온으로 전·평년보다 이른 2월 6일로 판단됐으며, 이 시기로부터 10일 이내에 웃거름을 줘야 효과적이라고 농업기술센터...
농업경제 영암군민신문2023. 02.10농업기술센터(소장 박지언)는 맥류 생육재생기를 맞아 웃거름 적정 시용과 제초제 처리 등 재배관리가 중요하다고 농가에 당부했다. 농업기술센터에 의하면 생육재생기에는 맥류가 월동 후 이른 봄에 기온상승과 더불어 새로운 잎과 뿌리가 증가한다. 이 시기에 웃거름 사용으로 수당립수 증가와 생육 후기까지 비효지속으로 등숙률을 좋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영암지역 맥류 생육재생기는 평년과 비슷한 2월 10일로 추정되며, 이 시기로부터 10일 이내에 웃거름을 줘야 효과적이다. 웃거름 양은 밀·겉보리·쌀보리의 경우 10a당 요소 10㎏, 맥주보리는 요소 4~7㎏을 줘야 한다. 이와 함께 생육재생기 전후 증가하는 잡초방제를 위해 페녹사프로프-피-에틸 계통 등 제초제를 2월 하순경에 살포한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맥류의 풍작은 생육재생기 재배관리에 ...
농업경제 영암군민신문2022. 02.18군 농업기술센터(소장 정찬명)는 봄철 웃거름 주는 시기를 판단하는 맥류재생기를 겨울철 기상과 생육상황을 고려, 2월 10일로 판단하고 웃거름 적기 적정량 시용 등 재배관리요령에 대한 농가 현장기술지원에 나섰다. 농업기술센터는 웃거름은 재생기 직후 10일 이내인 2월 20일까지 주어야 하며 늦어도 2월 하순까지는 웃거름을 주어야 이삭 당 낱알수가 증가하고 생육 후기까지 비효가 지속되어 잘 여물게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웃거름 주는 요령은 10a당 요소 10㎏을 1회 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사질토나 작황이 불량한 토양은 5㎏씩 2회 나누어 주는 것이 좋다. 맥주보리는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면 종실 단백질 함량이 높아져 품질이 떨어지므로 4~7㎏을 1회만 주어야 한다. 또 가을철 잦은 강우 등으로 파종시기를 놓쳤을 경우, 가을보다 약 25% 증량해서 2월 중·...
농업경제 영암군민신문2019. 02.15발아기 때 동상해 유발 가능성 큰 피해 우려 보리 양파 등 월동작물 생육부진 마늘은 양호 전남도내 보리, 양파 등 월동작물의 생육이 예년에 비해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영암지역의 경우 영암배와 대봉감 등 과수원에 동상해가 심각한 것으로 보여 철저한 관리가 요망된다.군에 따르면 영암의 대표작목인 영암배와 금정 대봉감, 삼호 무화과 등 과수작물은 지난해 쌍둥이 태풍(볼라벤과 덴빈)의 영향으로 조기낙엽이 발생한데다 올 겨울 및 봄철 이상기온까지 덮쳐 동상해가 심한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실제로 영암지역에서는 발아기 동상해를 유발하는 영하 2도 이하의 이상기온이 4월13일(영하 2.9도), 4월15일(영하 2.2도), 4월22일(영하2도) 등 세 차례나 이어졌다.올해 배꽃 만개기는 4월12일부터 16일이었고, 대봉감 발아기는 4월13일부터 22일까지였던 점에서 과수농가의...
농업경제 영암군민신문2013. 05.10군 농업기술센터는 지난 12월의 저온으로 평년에 비해 1일가량 늦어진 지난 2월12일께가 보리 생육 재생기가 될 것으로 보고, 적기 웃거름 주기 등 보리밭 관리 현지기술지원에 나서고 있다.웃거름은 생육 재생기부터 10일 이후인 이달 22일까지 1회 사용하고 쌀보리, 청보리는 10a당 요소 10kg을, 맥주보리는 7~8㎏을 주어야 한다고 당부했다.또 잡초종류에 따라 적기에 제초제를 처리해야 한다. 둑새풀이 많은 보리밭에는 하모니 입상수화제 7그램을, 광엽잡초가 많은 밭은 잡초 잎이 3~4매 될 때 벤타존 액제를 반드시 농약 안전사용기...
농업경제 영암군민신문2013. 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