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 교동지구 도시개발사업’에 청신호가 켜진 것 같다. 정부가 추진하는 ‘2025년 지역 활력타운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되면서 국비 94억원을 확보하는 등 총 184억원 규모의 ‘올 영(All Young) 활기찬 영 타운’ 조성에 나서게 됐기 때문이다. 교동지구 도시개발은 사업비 422억원을 투입해 영암군의 문화, 교육, 생활편의시설이 집약된 신도심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2019년부터 2026년까지 7개년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영암군은 이곳에 지역 활력타운 조성 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그 핵심 사업으로 130억원을 들여 단독형 타운하우스 44세대를 비롯해 커뮤니티 광장과 스마트 안전 인프라를 갖춘다는 계획을 세웠다. 또 주거뿐 아니라 지역 맞춤형 일자리와 종합 생활서비스까지 결합된 형태로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머무르고 활동할 수 있도록 임대형 스마트팜, 학교복합화시설, 유아친...
사설 영암군민신문2025. 06.05영암군이 행안부 등 정부가 추진하는 ‘2025년 지역활력타운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되면서 국비 94억원을 확보, 총 184억원 규모의 ‘올영(All Young) 활기찬 영타운’ 조성에 나서게 됐다. 이번 사업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영암군에 주거.생활인프라가 결합된 거점을 마련해 귀촌 청년, 은퇴자 등 다양한 계층의 정착을 지원할 예정이다. ■ 인구 유출 돌파구 마련 기대 영암군은 전남 16개 인구소멸 지역 중 청년 비중이 가장 높은 도시다. 그러나 청년들의 주거 마련 어려움과 일자리 부족 등으로 인해 매...
자치/행정 이승우 기자2025. 05.30영암군이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2025 지역활력타운 조성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되어 국비 94억 확보 도농복합도시로서의 균형발전에 한층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이번 공모사업은 고령화, 인구감소, 지역소멸 위기에 직면한 중소도시 및 농산어촌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정부의 핵심 프로젝트로, 주거‧일자리‧생활SOC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선정으로 국비 94억원 지방비 90억을 포함한 총 184억원 규모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고령친화형 주거단지 조성, 청년 정착을 위한 창업지원공간, 커뮤니티케어 시설 확...
자치/행정 영암군민신문2025. 05.22전 군수는 이날 시정연설에서 “2015년은 그 어느 해보다 의미 깊은 한 해로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 군수는 “민선 6기 지난 1년 5개월 동안 AI와 메르스 사태 등 고비도 많았으나 하나 된 힘으로 값진 성과를 거두었다”며 그 예로 ▲민선자치 최대의 성과인 국립종자원의 벼 정선시설 유치, ▲한우농가의 오랜 염원이었던 가축시장 설치 가시화, ▲도내에서 유일하게 복지 우수군으로 선정, ▲4월 한 달 동안 100만명의 관광객을 유치해 축제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연 점 등을 들었다. 전...
자치/행정 영암군민신문2015. 11.27법인세분 지방소득세 감소 사상 최악 지방세수 전년比 40억 급감복지정책 확대로 국·도비보조금은 늘어 자체사업 추진여력 줄어세출은 농림해양수산→사회복지→국토·지역개발 순 자립도 하향 군은 일반회계 2천934억원, 특별회계 391억원 등 총 3천326억원 규모의 2014년도 세입·세출예산안을 편성해 의회에 제출했다. 새해 예산안은 2013년 대비 3.79%인 121억원 증가했다. 일반회계는 137억원(4.89%) 증가했고, 특별회계는 16억원(3.81%) 감소했다. ■ 세입내년도 일반회계 세입예산(2천934억원) 구성은 지방세 375억6천만원(12.8%), 세외수입 89억8천만원(3.06%), 지방교부세 1천214억6천만원(41.40%), 조정교부금 및 재정보전금 40억1천만원(1.37%), 보조금 1천123억8천만원(38...
자치/행정 이춘성 기자2013. 11.29세수감소 악조건 속 농업·복지분야 집중 투자 군은 일반회계 2천934억원, 특별회계 391억원 등 총 3천326억원 규모의 2014년도 세입·세출예산안을 편성해 오는 11월25일 개회하는 제220회 영암군의회 제2차 정례회에 제출, 심의를 요구했다.새해예산안은 2013년 대비 3.79%인 121억원 증가한 것으로 일반회계는 137억원(4.89%) 증가했고, 특별회계는 16억원(3.81%) 감소한 규모다. 내년도 일반회계 세출예산은 농업분야가 전년대비 10.14% 증가한 726억원으로, 일반회계의 24.74%를 차지해 가장 큰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이어 사회복지, 국토 및 지역개발, 문화관광, 환경보호, 일반공공행정분야 순으로 편성했다.분야별 주요 투자사업을 보면 벼 육묘용 상토공급 15억원을 비롯해 친환경농업단지조성, 쌀소득보전직불제, 밭농업직접지불...
자치/행정 이춘성 기자2013. 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