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러한 축제를 둘러싼 정황에 대한 본지의 정보공개 요청에 영암문화관광재단은 집행 내역 검토를 영암군에 요청했다. 군은 “정보공개는 재단 소관”이라며 정산 검토 중이란 변명으로 2개월 넘게 소명을 미루며 서로 거리를 두고 있다.
이처럼 영암군과 재단은 서로 책임을 미루기만 할 뿐 정보공개에 대한, 명확한 해명은 내놓지 않고 있어 군수 측근을 둘러싼 군민들의 분노와 불신이 커지고 있다.
해당 기획사가 군수 측근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정황은 여러 차례 제기되고 있다. 축제 취소가 공식화되기도 전에 이 업체에 정산금이 이미 지급된 사실이 나타나면서, “관계자의 입김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낳고 있다.
군민들은 “측근 기획사라는 이름이 빈번히 거론되는 것 자체가 이미 행정의 공정성을 해친 것”이라며 군수 측근과 기획사와의 연관성의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책임 떠넘기기’ 사태를 해결 하기는 커녕 진실을 은폐하려 군과 재단이 서로 핑퐁 게임으로 책임 전가하는 모습으로 비춰지고 있다.
결국 군민 세금이 쓰였는데, 왜 누구도 책임을 지려 하지 않느냐”는 볼멘소리도 이어지고 있다.
지금 군민들이 바라는 것은 복잡한 해명이 아니다. 군민들에게 진실된 정보공개로 “군수 측근 기획사와의 관계가 실제로 있는지, 출연기관의 승인없이 사전지급이 왜 이뤄졌는지”에 대한 속 시원한 해명이다. 만약 정당한 절차였다면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하면 될 일이고, 특혜가 있었다면 관계자를 엄중히 문책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게 군민들의 목소리다.
주민들은 “군과 재단 모두 이번 사안을 단순히 덮고 넘어가려 한다면 주민 신뢰는 완전히 무너질 것”이라며 “외부 감사기관이나 수사기관이 나서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처럼 서로간에 책임을 떠 넘기는 모습을 보이며 주민들의 불신을 키우고 있어 주민들은 “결국 둘 다 자기 책임 아니라는 말만 한다”며 “피해는 고스란히 군민 몫”이라고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주민들이 가장 분노하는 지점은 기획사와 군수 측근과의 관계다. 측근이라는 이름이 오르내리는 순간 이미 군정의 신뢰는 깨진 것이다. 진짜 연관이 있는지 없는지 정보공개를 통해 속 시원히 밝혀야 할 것이다. 이번 사안을 단순 행정 착오로 치부할 수 없다는 점에서 만일 측근과 연관된 기획사에 사전 지급에 대한 의혹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진실규명을 위해 “외부 감사와, 필요하다면 수사기관의 개입까지 검토해 의혹에 대한 진실을 군민 앞에 소상히 밝히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