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운동
검색 입력폼
 
오피니언

새마을운동

정부는 1971년 전국 3만3천267개 마을에 시멘트 335포대씩을 무상지원 했다. 각 마을마다 하고 싶은 사업을 하라는 취지였다. 결과는 두 갈래였다. 무상공급 받은 시멘트로 안길포장 등 숙원사업을 해낸 경우와 뚜렷한 실적이 없는 경우다. 정부는 이번에는 실적이 있는 1만6천600개 마을에 다시 시멘트 500포대와 철근 1톤씩을 공급하며 주민들의 자발적인 협동노력을 장려했다. 이른바 ‘새마을 가꾸기 운동’의 시작이다. 이에 앞서 1970년4월 박정희 대통령은 가뭄대책을 숙의하기 위해 소집된 지방장관회의에서 이재민 복구대책과 함께 자조·자립정신을 바탕으로 한 마을가꾸기 사업을 제창했다. 새마을운동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아직 이를지 모른다. 그러나 ‘농촌근대화운동이자 박정희정부의 종합적 지배전략’이라는 극단의 평가에서 보듯 그것은 농촌근대화에 기여했지만 다른 한편으론 유신독재체제를 떠받치는 수단이기도 했다. 새마을운동이 시작된 1971년 치러진 제7대 대선에서 박정희는 ‘40대 기수론’을 내세운 김대중 후보와 대결해 辛勝했다. 같은 해 총선에서도 공화당 의석비율은 14%나 떨어졌다. 지지율 하락은 비단 도시만이 아니라 강원과 제주를 제외한 농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농민들의 소득을 높이고 생활환경을 바꾸는 일은 박정희 정권의 지지율과 직결된 문제였던 셈이다. 긍정론인 농촌근대화에의 ‘기여’ 역시 異論이 있다. ‘초가집도 없애고, 마을길도 넓히자’는 새마을노래에서 엿보이듯이 전통 초가집은 비위생적이고 불편하며 보기 싫다는 이유로 석면이 든 슬레이트 지붕으로 교체됐다. 마을 어귀 돌다리는 평평한 시멘트교량, 돌담은 벽돌담으로 대체됐다. 전통의 ‘抹殺’이다. 이런 마당에 엊그제 순천을 찾은 박근혜 대통령이 새마을운동을 다시 주창하고 나섰다. 국가정보원에 이어 군 사이버사령부까지 선거개입정황이 드러나고, 검찰수사에 대한 조직적 외압의혹이 불거진 상황이다. 유신독재를 떠받치는 소명을 다한 새마을운동의 꺼진 불씨를 되살려 뭘 하려는 심산인지 정말 뜨악하다.
영암군민신문 www.yanews.net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