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하지 않는 젊음은 청춘이 아니다
검색 입력폼
 
오피니언

도전하지 않는 젊음은 청춘이 아니다

김명전
성균관대학교 법학대학원 초빙교수
삼정KPMG 부회장
前EBS 부사장
한국의 경제권력이 대기업에서 벤처, 중소기업으로 넘어간 것으로 보였던 시절이 있었다. 2000년을 전후해 불었던 벤처기업 창업열풍 때이다. 당시 정부의 적극적인 IT벤처기업 창업지원 정책으로 2000년 한 해에만 무려 8,798(자료:벤처인)개 기업이 탄생했었다. 사실상 국가 부도상황에서 부실 대기업들이 속절없이 무너지던 절망의 시대에 젊은이들의 도전과 열정은 한국경제에 한줄기 희망이었다. 그들의 성공과 실패는 21세기 벽두에 대한민국을 ‘IT강국’으로 일으켜 세운 초석이 되었음은 분명하다. 그들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2007년, 세계적인 권위의 IT소프트웨어 ‘이매진컵(Imagine cup)’ 서울대회에서 한국이 사상 최초로 ‘핑거코드’라는 프로그램으로 우수작품에 선정된 일이 있다. 진동을 통해 시청각장애인의 소통을 돕는 기술이다. 당시 시상식에 참가했던 마이크로 소프트의 창업자 빌 게이츠 회장이 훌륭한 기술이라며 “절대 사장(死藏)시키지 말라”고 당부했던 프로그램이다. 그 이후, 이 기술을 개발했던 대학생들이 창업을 시도했지만 자금부족 등 진입장벽에 막혀 좌초 되었다. 이것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우리나라에서 창업에 도전하는 청춘의 전사들이 설 땅은 없었다.
지금, 한국의 젊은이 들은 공무원, 공기업 또는 대기업의 정규직이 되기 위한 취업조건(Specification) 만들기에 바쁘다. 정글을 누비며 살아 숨 쉬는 먹이를 찾는 피 끓는 청춘의 포효는 없다. 초목이 우거진 안락한 초원을 찾아 헤매고 있다. “아프니까 청춘이다”라는 위로의 말이 감동으로 전파되는 현실이다. 청춘은 시대의 뒷전에서 눈물짓고 위로받는 세대에 붙이는 이름이 아니다. 위로받고 안주하기에는 청춘의 피가 너무 뜨겁지 않는가. 무엇이 이토록 무기력한 젊음으로 내 몰았는가. 기득권의 잣대로 요구하는 조건, 불안정한 고용구조, 희망을 갖기에는 너무도 버거운 고비용의 시대에 던져진 청춘의 초상이다.
세계경제가가 오일쇼크에 빠져 추락하던 1975년, 20세에 불과한 청년 빌 게이츠가 마이크로소프트(MS)를 창업하고, 스티브 잡스는 애플을 세웠다. 미국 경제가 가장 어려웠던 시기에 창업에 도전했던 두 청년이 세상에 내 놓은 개인용 컴퓨터와 운영체제(OS)였다. 그들의 도전은 오늘날 세계의 산업지형을 바꾸었고, 세계 최대의 기업을 일으킨 성공신화의 주역이 되었다. 이처럼 모험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은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청춘의 힘이다. 세상을 향해 당당히 외쳐라. ‘일자리를 달라, 일자리가 없다면 창업자금을 지원해 달라고 요구하라.’ 그것은 정당하다. 아직 세상에 발 딛어 보지 못한 청춘이며 나라의 미래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명문 매사추세츠공대(MIT)졸업생의 약 10%가 창업을 통해 사회에 진출한다고 한다. 오늘의 미국이 사상 최악의 경제위기 속에서 아직까지 견디는 저력은 이처럼 미래세대의 모험을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정신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도 벤처 중소기업과 청년창업을 일으켜 세워야 한다. 독일은 2003년부터 1인 기업 활성화(Ich-AG) 프로그램을 도입해 지속적으로 기업생태계의 뿌리와 가지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 제도의 핵심은 정부가 벤처창업자의 생활 안정을 보장함으로써 창업의 위험을 분담해 주는 ‘최소소득 보장제’이다. 실제로 독일 청년들은 이 제도에 힘입어 도입 최초 3년 동안 10만 명이 창업에 참여했다.
벤처와 중소기업 육성의 성과는 천천히 나타난다. 그렇지만 경제의 체력과 기업의 생태계를 건강하게 구축할 수 있는 가장 빠른 지름길이다. 뿐만 아니라 청년실업의 해소 효과도 대기업에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다. 우리나라의 전체 고용에서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0%에도 못 미치는 현실이다. 이 정부의 지나친 대기업 지원정책으로 중소기업과 벤처 생태계가 무너지면서 허공에 날려버린 손실과 기회비용은 엄청나다. IT분야의 대표적인 실패사례가 우리나라 벤처 새롬기술이 인터넷 전화를 최초로 개발하고도 미국의 스카이프(Skype)에 시장을 넘겨주었고, 싸이월드가 개발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유사 프로그램의 후발주자인 미국의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빼앗겼다. 참으로 안타까운 실책들이다.
건강한 기업생태계의 육성도, 청년실업의 해소도, 동반성장이라는 대기업의 관용만을 기다릴 것이 아니다. 미래세대인 우리의 젊은이들도 대기업의 화려한 감판에 기대어 안주할 때가 아니다. 정부든, 대기업이든 기성의 프레임으로 기득권 위에 서 있는 세대는 말해야 한다. 대한민국의 젊은이들에게 “인생에서 가장 큰 영광은 결코 넘어지지 않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넘어질 때 마다 일어서는데 있다(넬슨 만델라:노벨평화상 수상자이며 前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쓰러지면 다시 손잡아 줄테니 두려워하지 말라”고 답해야 한다. 청년이 희망이며 미래이기 때문이다. 도전하지 않는 젊음은 청춘이 아니다.
김명전 www.yanews.net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