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경찰서를 영암사람들의 공간으로
검색 입력폼
 
오피니언

영암경찰서를 영암사람들의 공간으로

조정현 영암읍도시재생주민협의체 위원장 영암학회 연구위원
영암경찰서는 '영암읍 남문로 19번지'에 위치한다. 경찰서 정문과 같은 방향 안쪽에 위치한 본관은 군서 쪽을 향하고 있다. 서쪽으로 더 치우친 서남향을 향하고 있으니 오후에는 따스한 햇살이 비추는 곳이지만, 오전에는 햇볕이 잘 들지 않는다. 창문 너머 지근거리에 있는 영암의 상징 '월출산'이란 큰 그림을 한 폭 담아서 그 기(氣)를 온전히 누릴 수 있으면 좋겠지만, 새로 들어선 아파트와 군서방향으로 늘어선 산자락들만 겨우 들어온다.
본관은 1986년에 준공된 건물이다. 40여년이 다 되어가는 건물이다 보니 외관도 낡고, 체력 단련장 등 직원 복지시설은 거의 갖추지 못하고, 냉난방도 취약한 상태다. 복도를 지날 때마다 삐걱거리는 소리를 내던 70-80년대의 시골학교 같은 분위기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작은 건물이 본관의 역할을 하고 있다. 영암군의 치안을 총책임지는 '경찰서'라기보다는 규모가 좀 있는 지구대 같은 외양이다. 조선시대에는 저 멀리 추자도까지 관할하였던 영암군의 위용은 찾을 수 없다.
2019년, 낡고 좁은 현 청사를 좀 더 쾌적한 환경을 갖춘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180억여원이라는 예산을 확보하여 새로운 공간에 영암경찰서를 짓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주민들의 의견과는 배치되는 결과인 '경찰서 이전'이 아닌 현 경찰서 부지에 새 건물을 짓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3천여평 밖에 되지 않는 공간에 복지시설까지 포함한 신청사를 짓는다는 것은 설계 단계부터 쉬운 일이 아니었다. 지반 조사를 하며 방향을 바꿔 빈 공간에 설계를 해보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시도를 하느라 시간은 흘러갔다. 그러는 와중에 건축비 등의 상승으로 인하여 올해 추가로 90억원의 비용을 기재부에 신청해둔 상태라는 소식이 들린다. 추가비용에 대한 적합성 조사를 앞두고 있다.
현 부지에 다시 경찰서를 짓는다면, 현재의 좁은 공간에서 건축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영암경찰서를 상징하는 아름드리 고목들이 베여나갈 것이고, 경찰서 정문 쪽에 늘어선 아름다운 왕벚나무 꽃잎도 다시는 볼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임시 청사를 마련하여 이사를 해야 한다. 한 건물에 경찰서의 모든 시설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없으므로, 경찰서는 2년 이상을 두 군데, 또는 세 군데로 쪼개져서 업무를 봐야하는 상황이 벌어질 것이다. 임시 청사로 이사를 나갔다가, 신청사가 들어서면 다시 이사를 들어와야 하는 두 번의 이사가 필요하다. 거기에 2년여 동안의 건물 임대료도 추가된다. 주민들의 희망에 따라 경찰서 부지 이전이 추진되었다면, 들어가지 않아도 될 비용이 생긴 것이다.
지난 7월 1일자 <영암군민신문>은 "영암경찰서 신축에 대해서는 교통과 치안, 도시 확장 등을 감안할 때 영암군이 적절한 부지를 제공해 이전, 신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지적했다. 영암읍성 복원 및 관광자원화 등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서 현 위치에 공사가 시작되면 다른 사업으로 인해 언제 끝날지 예상하기 어렵다는 점도 이유로 꼽았다."라고 우승희 영암군수의 영암경찰서 이전에 대한 의지를 보도했다. 민선8기 우 군수의 새로운 의지를 확인한 영암군과 영암경찰서가 이전 부지 확보를 위해 긴밀히 논의하면서 협조해 나간다면, 두 번의 번거로운 이사도 생략하고, 비용도 절감하면서 보다 더 쾌적한 공간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경찰서 이전'의 결과로 남게 될 부지는 옛 영암성터가 지나가는 곳과 맞물려 있으니, 그곳은 주민들이 주인이 되어 영암의 역사를 기억할 수 있는 '역사문화공원'이 되어야한다. 2∼3년 전부터 영암성 복원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현재 남아있는 공간만이라도 제대로 발굴, 보존하면서, 옛 남문 터 가까운 곳에 '남문'을 복원하고, 경찰서부지에 월출산 영암산성, 영암성, 그리고 1555년 을묘왜변 당시 나라의 운명을 구한 양달사 장군과 영암성 대첩 등의 역사에 대한 안내공간이 될 '영암성 역사문화공원'을 조성한다면, 영암 역사의 상징물이 새롭게 생겨날 것이다.
왕벚꽃이 피는 새 봄에도, 정자의 그늘이 그리운 한 여름에도, 키 껀정한 감나무가 빨간 홍시를 만드는 가을에도, 그리고 흰 눈이 소복이 마당을 덮는 한 겨울에도, 영암사람들의 혼(魂)을 담고 있는 월출산을 향해 늘 자리 잡고 있을 한 공간을 그려본다. 커다란 창이 있을 것이고, 찻잔 하나 받쳐 놓을 탁자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공간과 함께할 영암사람들은 영암의 역사와 문화를 학습하고, 또 영암의 역사와 문화를 이어갈 것이다.
영암군민신문 yanews@hanmail.net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