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배추’ 수급정책 부재 탓
검색 입력폼
 
농업경제

‘金배추’ 수급정책 부재 탓

무 배추 값 폭등 들녘에 가보니…

값 폭등따라 재배 급증 김장철엔 하락 우려
중간상만 폭리 생산·소비자 보호대책 절실

“올해만 같으면 무·배추농사 할 만 하네요”
6일 시종면 태간리에서 만난 채소재배농민 B모씨의 말이다. B씨뿐 아닐 것이다. 무와 배추가 금값을 방불케 할 정도로 폭등하면서 모종정식이 끝나기 무섭게 전년보다 2-3배 높은 값에 밭떼기거래(포전거래)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달 말 시종면 일대에 무와 배추 4천여평을 정식했던 B씨는 모종 정식이 끝나자마자 중간상인들이 달려와 3.3㎡당 6-8천원에 포전거래를 끝냈다. 전년 같으면 무는 2-3천원, 배추는 1천500-2천500원선이었으니 2-3배나 높은 값이다.
하지만 재배농민들은 마냥 즐거울 수만은 없다. 배추와 무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추가 재배를 서두르는 농민들이 많아져 정작 제값을 받아야할 올 김장철엔 되레 가격하락을 우려해야할 상황이기 때문이다. 또 포전거래가가 높아져 소득이 늘기는 했지만 소비자가격은 이보다도 무려 4~5배나 높아 같은 처지인 서민들의 가계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결국 무와 배추 값 폭등은 산지에서 이를 밭떼기로 사들여 유통시키는 중간상인들과 도매상들에게만 폭리를 안겨주고 있다. 당연히 정부의 채소수급정책의 부재에 대한 불신만 키우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농협은 채소수급안정을 위해 농민들과 계약재배를 하고 있으나 요즘처럼 가격이 폭등하면 무용지물이 된다. 농협과 계약 재배한 농가들이 위약금을 지불하고서라도 포전거래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지역의 회원농협 한 관계자에 따르면 “현실성 없는 정부의 수급정책만 믿고 따를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무·배추가격의 안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간상인들의 폭리의 원인이 되는 산지포전거래를 막을 수 있는 장치가 있어야 한다”고 대책마련을 호소했다.
한편 최근 배추 값이 치솟은 이유는 8-9월에 출하되는 강원도와 중부지방 등의 고랭지 배추가 이상기온과 많은 강수량, 태풍 등 영향으로 생육과 작황이 부진해 출하량이 급감한데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영암을 비롯한 해남, 강진 등 10월말에서 11, 12월 사이에 출하되는 남부지방의 배추는 작황이 좋을 뿐 아니라 재배면적도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늘어난 추세다.
영암의 경우 예상조사결과 김장무는 369ha, 김장배추는 298ha로 전년 398ha와 322ha보다 적을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제로는 뒤늦게 파종과 이식을 하는 농가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암군은 오는 13일까지 지역농가들의 무·배추 재배 현황을 조사하고 있지만, 최근 가격호조에 따른 기대심리로 이처럼 뒤늦게 파종이 늘어 재배면적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했다.
변중섭 기자 jusby@hanmail.net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