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기미 독립선언 이후, 전라남도 원응상 도지사와 석진형 참여관(參與官, 현 국장급) 등은 애국사상 억제 수단으로 유교를 활용키로 하고 1922년 3월 150여 명의 호남 유림들을 동원하여 ‘전라남도유도창명회(全羅南道儒道彰明會)’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자신들의 선전 도구로 1923년 7월부터 『창명(彰明)』이라는 잡지를 발행하였는데, 1925년 1월 10일 발행된 제5호의 ‘잡보(雜報)’란에 ‘고백제국 박사관왕인씨 사우건설 발기문(古百濟國博士官王仁氏祠宇建設發起文)’을 실었다. 한문으로 된 이 발기문을 요약해...
낭산로에서 영암군민신문2025. 06.26덕진여사의 숭고한 공덕과 지역화합, 안녕을 기원하는 ‘2025 대석교창주 덕진추모제’가 지난 5월 31일 덕진면 덕송재에서 봉행됐다. 덕진공덕보존회(회장 양인) 주관으로 열린 이날 추모제에는 우승희 군수를 포함해 지역기관·사회단체장과 유림, 주민이 참석했다. 이날 추모제는 초헌관에 최영복 덕진면장, 아헌관에 전종환 덕진노인회장, 종헌관에 박중구 문체위원장이 맡아 진행됐다. 이어진 기념식에서 양인 덕진공덕보존회장은 “고대국가 시대에 이 고장 덕진은 남해안의 여러 섬들과 동지나해를 지나 동남아와 중국의 여러 나라의 무...
문화/생활 이승범 기자2025. 06.05영암읍 출신 한민 산림조합중앙회 광주전남본부장이 16일 서울 송파 산림조합중앙회 본부청사에서 열린 산림조합 창립 63주년 기념식에서 산림조합발전유공 및 사유림 경영 활성화를 위해 노력한 공로로 동탑산업훈장을 수상했다. 영예를 안은 한민 본부장은 지난 93년 산림조합에 입사해 32년간 재직하면서 ‘숲으로 잘사는 대한민국, 숲으로 만드는 지속가능한 미래’라는 산림정책 비전 구현을 위해 조합원과 산주, 임업인의 소득향상을 위한 산림버섯 신품종개발, 국산화율 증대 및 임가실증시험 등의 산림경영 기술지도에 매진하고, 산사태예방사업 등의...
농업경제 이승우 기자2025. 05.22영암향교(전교 최금렬)는 지난 9일(일) 공자탄생 2576주년을 맞아 대성전에서 헌관을 비롯한 지역유림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춘기석전대제를 봉행했다. 이날 대제에서는 신락현 씨가 초헌관을, 김재익 씨가 아헌관을, 김찬수 씨가 종헌관을 맡았으며, 총 21명의 제관과 집사들이 각자 자신의 직을 맡아 예를 갖춰 봉행하고 그 뜻을 기렸다. 석전제 전날인 8일에는 제관분정, 의관정제, 봉심, 축문작성, 전축, 제물봉진, 제물봉송, 진설 등의 절차를 거쳤으며, 당일인 9일에는 전폐례, 초헌례, 아헌례, 종헌례, 동·서 ...
지역사회 이승우 기자2025. 03.14최근 영암군에서 발간한 ‘영암성, 영암 사람들’ 책자를 읽고 나서 한 어르신이 내게 영암향교의 연혁을 이대로 두어도 되는지에 대해 질의를 해왔다. ‘영암성, 영암 사람들’의 집필에 참여한 한 사람으로서 오늘은 여기에 대한 필자의 의견을 적고자 한다. 책에서도 기술했지만, 영암향교의 연혁이 최초로 기재된 책자는 1963년 영암군지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이 군지에는 영암향교 창설 연대가 두 가지로 적혀 있다.‘사묘(祀廟)’항에서는‘태조 무인년(1398년)에 공자의 문묘를 건립하였다(太祖戊寅年建).’라고 하였고,‘향교사적(鄕...
낭산로에서 영암군민신문2025. 02.07영암국유림관리소(소장 박상춘)는 설 명절을 맞아 조상의 묘소를 찾는 성묘객 편의를 위해 관내 260km의 국유임도를 1월 23일부터 2월 2일까지 한시적으로 개방한다. 국유임도는 산림보호와 산림경영을 목적으로 개설된 기반시설로 평소에는 산불과 임산물 무단채취 등을 예방하기 위해 일반 차량의 통행을 제한하고 있으나, 명절 전후로는 성묘객의 편의를 위해 임시 개방한다. 영암국유림관리소 관계자는 “일반도로에 비해 노폭이 좁고 급경사, 급커브, 낙석위험 구간이 많아 추락이나 낙석 등에 의한 피해가 우려되는 임도를 이용할 경...
지역사회 이승범 기자2025. 01.23양달사현창사업회가 최근 제2차 이사회를 열어 2024년 한 해 추진했던 주요사업을 보고하고 논의했다 한다. 특히 양달사 장군 표준영정 제작과 관련해 이영현 사무국장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열린 4차에 걸친 회의 내용을 소상하게 보고해 눈길을 끌었다. 이 사무국장의 전언에 의하면 표준영정 제작 작업은 수도권 소재 대학 사학과 교수들로 구성된 ‘선현심의소위원회’ 위원들 조언에 따라 양달사 장군의 사망 일자를 ‘1557년 12월 20일’에서 ‘1571년 10월 7일 이후 행적 미상’ 혹은 ‘미상’으로 결정했다 한다. 미암 유희춘의 「미암일기(眉巖日記)」를 근거로 했다. 대신 1633년 이후 지금까지 족보와 각종 비문 등에 기록된 ‘1557년 12월 20일’ 사망 일자는 그대로 두되, 추후 안내판을 추가하기로 했다고 이 사무국장은 전했다. 또 양달사 장군의 표준영정 모습은 최근 개최...
사설 영암군민신문2024. 12.26지난 12월 13일(금) 11시, 양달사현창사업회 사무실에서 2024년 제2차 이사회가 개최되었다. 장만채 회장과 김한남, 김호중 부회장 등 이사와 감사 20여 명이 참석한 이날 이사회에서는 금년도 주요사업 추진상황이 보고되었다. 이날 보고자로 나선 이영현 사무국장은 영암군에서 추진 중인 양달표준영정 제작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문화체육관광부 열린 4차에 걸친 회의 내용을 소상하게 보고하였다. 먼저 수도권 사학과 교수들로 구성된 ‘선현심의소위원회’위원들의 조언에 따라 양달사의 사망 일자를 ‘1557년 12월 20일’에서 미...
교육 이승우 기자2024. 12.19공맹(孔孟) 사상과 유학 전통 회복을 위해 힘쓰는 영암향교 영암향교(전교 최금렬)는 1984년(고종 31)갑오개혁 이후 과거제도가 폐지되고 학제를 개편함에 따라 교육기관의 역할이 없어지면서 자연스럽게 강학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인문학이 퇴보하게 되고, 이는 정신과 인성의 고갈로 이어져 사회 불평등은 심화되고 정신적 건강문제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향교의 열악한 재정이지만 각자의 교양을 길러 우리 삶의 질과 품격을 높여보고자 군(郡)의 지원을 받아 ‘인문학 강좌(유교경전)’와 ‘청소년 예절교실’을 운영하고 ...
기획특집 이승우 기자2024. 10.11이정덕 (유)광전PC 대표가 12일 2,200만원 상당의 이불 100채를, 한국건강관리협회 광주지부가 100만원을, 영암국유림관리소가 51만원을 영암군에 각각 기부했다. 이 대표의 이불은 전라남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거쳐 형편이 어려운 이웃들에게 전달될 예정이고, 두 기관의 기부금은 저소득 세대에 전달됐다. 이 대표는 2019년부터 매년 1~2회 이상 기부를 이어와 이번까지 1억4,000만원 상당의 이불 총 720채를 기부했다. 이에 앞선 2일 전국민주연합노동조합 영암지부는 어려운 이웃에 나눠달라며 220만원을 영...
지역사회 김지혜 기자2024. 09.24영암향교(典校 崔金洌)는 지난 10일 공자탄생 2575주년을 맞아 대성전에서 헌관을 비롯한 지역유림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추기 석전대제를 봉행했다. 이날 대제에서는 우승희 군수가 初獻官을, 김광수 교육장이 亞獻官을, 임정빈 농협군지부장이 終獻官을, 김광호 문화관광복지국장이 東終獻官을, 황태용 신북면장이 西終獻官을 각각 맡아 예를 갖춰 봉행하고 그 뜻을 기렸다. 영암향교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5성과 송조 2현, 동국 18현 등 성현 25위의 위패를 모시고 있으며, 매년 음력 2월과 8월 상정일(上丁日)에 석...
문화/생활 이승우 기자2024. 09.12□ 추기 ‘석전제’ 앞둔 영암향교 탐방 영암향교(전교 최금렬)가 오는 9월 10일 공기(孔紀) 2575년 추기 석전제(釋奠祭)를 앞두고 바야흐로 준비가 한창이다. 이번 석전제 봉행은 국격과 교권이 추락하는 작금의 현실을 직시하고, 유학(儒學) 전통을 올바로 계승 발전시키는 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 크다. 유학의 올바른 전승에 매진하는 산 현장이자 추기 석전제 준비가 한창인 영암향교를 찾아 그 면면을 수회에 걸쳐 소개한다. 석전은 원래 전통사회에서 산천이나 묘사에 올리던 제사, 또는 학교에서 선성선사(先聖先...
문화/생활 이승우 기자2024. 08.29조선 최초 의병장인 양달사 장군의 사당 건립에 영암 유림들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한다. 영암향교(전교 최금렬)가 최근 명륜당서 열린 ‘추기(秋期) 유림회의’에서 손석채 면장을 비롯한 도포면의 기관사회단체장과 제주양씨주부공파종중(회장 양유복)이 보낸 양달사 사당 건립 염원이 담긴 통문(通文)을 소개하고, 전라도 4장관(四掌管)인 나주, 순천, 전주, 남원향교 등에 함께 나서줄 것을 알리는 한편, 전라도 유림의 의견을 모아 성균관의 인준을 건의하기로 결정했다는 것이다. 또 영암향교 유림들의 이번 공의(公議)가 성균관의 인준으로 이어지면 4형제 위패를 제작해 대제(大祭)를 모시고, 양달사 의병장의 묘소 옆에 사당을 건립해 줄 것을 영암군과 전남도, 문화체육관광부 등에 건의한다는 계획까지 세웠다 한다. 양달사 장군은 1553년 남해현감으로 부임했으나 모친상을 당해 시묘(侍墓)...
사설 영암군민신문2024. 08.29영암향교(전교 최금렬)가 오는 9월 10일 공기(孔紀) 2575년 추기 석전제(釋奠祭)를 앞두고 바야흐로 준비가 한창이다. 이번 석전제 봉행은 국격과 교권이 추락하는 작금의 현실을 직시하고, 유학(儒學) 전통을 올바로 계승 발전시키는 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 크다. 유학의 올바른 전승에 매진하는 산 현장이자 추기 석전제 준비가 한창인 영암향교를 찾아 그 면면을 수회에 걸쳐 소개한다. 영암향교는 1420년(세종 2년)에 유림(儒林)들에 의해 역참(驛站)이 있었던 영보역 부근(현 공설운동장 자리)에 처음 세워졌...
문화/생활 이승우 기자2024. 08.23조선 최초 의병장 양달사 장군 사당 건립에 영암향교(전교 최금렬) 유림들이 나섰다. 지난 8월 13일 영암향교 명륜당에서 개최된 ‘추기(秋期) 유림회의’에서 손석채 도포면장을 비롯한 도포면 기관사회단체장과 제주양씨주부공파종중(회장 양유복)에서 보낸 양달사 사당 건립 요망이 담긴 통문(通文)을 소개하고, 전라도 4장관(四掌管)인 나주, 순천, 전주, 남원향교에 함께 나서줄 것을 알리는 한편, 전라도 유림의 의견을 모아 성균관의 인준을 건의하기로 하였다. 영달사 의병장은 1555년 5월 을묘왜변 때 형제들과 함께 영암군민을...
문화/생활 박서정 기자2024. 08.23